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242
한자 靑邱圖茂朱府地圖
영어공식명칭 Cheongudo Mujubujido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한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34년연표보기 - 『청구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청구도』 보물 제1594-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청구도』 보물 제1594-2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9년 4월 22일연표보기 - 『청구도』 보물 제1594-3호로 지정
현 소장처 국립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현 소장처 영남 대학교 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대동 214-1]
현 소장처 고려 대학교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안암동5가 1-2]
성격 고지도
작가 김정호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청구도』에 수록되어 있는 무주부 지도.

[개설]

『청구도(靑邱圖)』는 1834년(순조 34)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전국 지도로, 건곤(乾坤) 2책으로 되어 있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4-1호[국립 중앙 도서관 소장], 보물 제1594-2호[영남 대학교 도서관 소장]로 지정되었고, 2009년 4월 22일에 보물 제1594-3호[고려 대학교 중앙 도서관 소장]로 지정되었다. 이본(異本)으로는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의 『청구 요람(靑邱要覽)』 2책을 비롯하여 국립 중앙 도서관의 『청구 경위도(靑邱經緯圖)』 2책, 한국학 중앙 연구원 장서각의 『청구도』 2책, 영남 대학교 박물관의 『여지도(輿地圖)』 2책, 고려 대학교 중앙 도서관의 『청구도』 2책 등이 있다. 이본들은 명칭의 차이, 범례의 유무, 산줄기와 봉우리 표현의 차이, 경위선표의 유무 등에서 차이가 난다.

[형태 및 구성]

『청구도』는 대축척의 채색 필사본 지도로 건곤 2책을 상하로 연결시키면 전국 지도가 된다. 크기가 가로 462㎝, 세로 870㎝로 현존하는 고지도 중 가장 크다. 전국을 남북으로 29층(層), 동서로 22판(版)으로 구분하여 방안 눈금으로 나누어 그렸다. 방안 하나는 남북이 약 40㎞[100리], 동서가 약 27.5㎞[70리]가 되도록 구분하였다. 실제 지도의 크기는 가로 17.5㎝, 세로 25㎝이므로, 조선 시대 10리는 4㎞가 아니라 약 5.4㎞임을 감안하여 지도의 축척을 계산하면 21만 6000분의 1이 된다. 4㎞[10리]마다 연결할 수 있도록 지도 외곽에 눈금을 표시하였고, 범례와 지도식(地圖式)이 있다. 지도 안에 산줄기와 강줄기, 도로, 주현, 읍치(邑治), 방면(坊面), 성곽, 역참, 봉수, 사원, 능묘 등에 대한 지리적 정보를 담고 있다.

『청구도』김정호의 3대 지도 중 첫 지도이다. 수록된 순서로는 「본조 팔도 주현도 총목(本朝八道州縣圖總目)」, 「도성 전도(都城全圖)」, 「신라 구주 군현 총도(新羅九州郡縣總圖)」, 「고려 오도 양계주 총도(高麗五道兩界州總圖)」, 「본조 팔도 성경 합도(本朝八道盛京合圖)」이며, 건·곤 양권에 나누어 수록되어 있다. 「본조 팔도 주현도 총목」은 각 주현(州縣)을 검색하기 위한 색인도(索引圖)이고, 나머지는 모두 역사적 지도이다. 『청구도』 속 무주부를 보면, 주위 군현과의 경계를 검정색 점선으로 표기하여 그 영역을 한눈에 보여주고 있다. 또한 관내 행정 구역으로 북면(北面), 서면(西面), 풍서면(豊西面), 신동면(身東面), 풍동면(豊東面), 유야면(柳野面), 마천면(亇川面), 풍서면(豊西面), 횡천면(橫川面), 일안면(一安面), 이안면(二安面)이 있고, 역참과 창고의 위치도 표기하고 있다. 특히 무주 적상산성(赤裳山城)은 성곽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하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한편 산과 강은 줄기 형태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로는 붉은색 선으로 서북쪽의 금산(錦山)과 연결하고 있어 당시 주요 도로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대축척의 과학적인 지도로 처음 만들어진 지도이지만, 다양하고 많은 지리 정보가 담겨져 있지는 않다.

[특징]

『청구도』 제1책의 「청구도제(靑邱圖題)」에 기록된 지도 제작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지도 제작 원리를 참고하고, 둘째, 천문 관측에 의한 경위선을 결정하였으며, 셋째, 정조 대에 관측한 천문 성과를 바로잡았으며, 넷째, 축척을 최대한 정확하게 적용하여 지도를 만들었다.

[의의와 평가]

『청구도』는 당시 지도로서는 가장 큰 축척의 과학적인 지도였으며, 군현의 경계를 확실하게 한눈에 볼 수 있는 우수한 지도였다. 또한 책으로 제작하여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는 점에서 뛰어난 지도로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19세기 초반 무주 관내의 행정 구역, 산천, 도로, 지명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의미 있는 지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