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무속 신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1088
한자 巫俗信仰
영어공식명칭 Shamanistic Belief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집필자 이상훈

[정의]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행하는 당골을 매개로 한 모든 신앙.

[개설]

무속 신앙은 무당을 주축으로 하여 민간에서 전승되는 신앙이다. 민간 신앙 중 가장 체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교적 지도자로서의 무당이 종교 의식을 집행하며, 종교 의식에 필요한 구비 경전으로서의 무가(巫歌)가 있다. 무속 신앙은 오늘날에도 살아 있는 종교로서 민간에 뿌리를 두고 있는 대표적인 신앙이다.

제의 규모에 따라 ‘굿’과 ‘비손’으로 구분된다. 굿은 여러 명의 무(巫)와 반주를 전문으로 하는 잽이가 합동으로 가무와 실연을 위주로 제의하는 것이고, 비손은 한 사람의 무당이 축원을 위주로 하는 약식 제의이다. 굿은 가무를 중심으로 서서 제의를 진행시키며, 비손은 앉은 채로 무당이 축원 중심의 제의를 진행시킨다. 제의 장소는 제의를 통해 무당이 신을 만나는 장소로 신성한 장소이다. 즉 제장은 신이 나타날 수 있는 성스러운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신당(神堂)은 성소로서 신체가 봉안되거나 신수가 있다. 무당의 제의 장소는 무당 개인의 신단(神壇)이나 마을 신당, 그리고 민가의 신단 등에서 이루어진다.

제의 과정은 청신(請神) 과정, 가무 오신(歌舞娛神) 과정, 신탁 축원(神託祝願) 과정, 송신(送神) 과정 등으로 구성된다. 청신 과정은 굿에 해당하는 신을 정중히 굿에 청하는 과정이다. 가무 오신 과정은 청한 신을 가무로 즐겁게 해 주는 과정이다. 신탁 축원 과정은 초청된 신이 무당에서 공수로 신의 뜻을 전하고 소원을 비는 과정이다. 끝으로 송신 과정은 굿에 초청된 신을 돌려보내는 과정이다.

[호남 지방의 당골과 당골굿]

호남 지방 당골들은 부모로부터 이어지는 세습무(世襲巫) 형태였으나 점차 세습무가 사라져 현재는 거의 없다. 과거 세습무가 많았을 때는 당골이 각 마을에 거주하면서 마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 주는 사제, 병 치료, 자문 등의 역할을 맡았다. 당골은 몸에 일정한 신령이 내려와 신경증, 병, 꿈의 증상을 거치면서 그 신을 받아들이고 신과 소통하면서 사제로서의 초자연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당골이 모시는 신은 일정하지 않으며, 각 신은 서로 독립적이다.

당골은 굿을 통하여 불필요한 신을 쫓아내거나 또는 신을 불러 자신에 도움을 주게 함으로써 초자연 신을 매개로 하여 인간사를 해결하는 것이다. 굿은 대체로 신을 불러내서 즐겁게 하여 신탁을 내리도록 하는 3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신을 청해서 악기나 노래로 흥겹게 신을 찬양하여 즐겁게 한 다음 요란스런 연주와 더불어 당골이 세찬 도약 등으로 신이 내리면 신의 입장에서 당골이 공수를 내린다. 신이 노여움을 보일 때는 돈을 더 드리고 더 열심히 치성한다. 당골 집은 대체로 신을 그린 그림이 붙어 있는 신당이 꾸며져 있다. 그림은 없고 불상이나 사람 형태의 인형을 자신의 신으로 모시는 경우도 있다. 신 앞에 촛대, 향로, 제기 등을 놓고 명두, 명다리, 무복, 악기, 무구들이 보관되어 있다. 당골들은 신과 접하여 소통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신과의 소통을 통해 사제, 병 치료, 예언, 영매(靈媒)의 역할을 수행한다. 점쟁이가 점을 쳐서 나온 결과로 독경을 하거나 굿을 한다. 당골이 ‘푸닥거리’를 하고, ‘안택’이나 ‘시월상달 고사’를 하며, ‘뱃고사’ 등도 주관하고, 당산제의 사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

[무주군의 무속 신앙]

무속 신앙은 민간 신앙 중 가장 체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교적 지도자로서의 무당이 종교 의식을 집행하며, 종교 의식에 필요한 구비 경전으로서의 무가가 있고, 이 속에 우주의 질서와 교리적 지침이 들어 있다. 무주 지방 무당굿은 집굿, 마을굿, 오구굿 등으로 구분된다. 집굿은 집안의 재복과 안녕을 위한 굿으로 도신굿, 재수굿 등이라고도 한다. 마을굿은 당산굿, 당굿, 대동굿, 용왕굿 등으로 불린다. 오구굿은 진오귀 씻김굿, 시왕굿, 망무기굿 등이라고도 한다. 무주 지방에서는 무당을 남자는 법사, 여자는 보살이라고 부른다.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 산의실 마을에서는 정초에 미리 식구마다 『토정비결(土亭秘訣)』을 보고 무당을 찾아가 운수를 보아 나쁘다고 하면 뱅이[사고·질병의 예방 및 이미 발생한 재액(災厄)을 없애려고 하는 일종의 주술적 방법]를 한다. 정초에 집안의 안녕을 위하여 안택을 한다. 길일을 택해서 굿을 하는데, 무당이 와서 집안의 곳곳을 돌며 축언을 해 준다.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원심곡 마을에서는 집안의 평안과 태평을 기원하며 무당을 불러 안택을 했다. 40여 년 전에는 용하다는 무당을 불러 굿을 했다. 산제를 모시므로 산제를 마친 후에야 개인 치성을 드릴 수 있다. 굿을 하려면 당일에 사립짝 앞에 금줄을 드리우고 황토도 뿌렸다. 부정을 가리고 정성껏 굿을 하면 집안이 편안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