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642
한자 興陽李氏
영어공식명칭 Heungyang Yissi|Heungyang Yi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대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흥양 - 전라남도 고흥군
입향지 무풍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세거|집성지 현내리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철목 마을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철목리 지도보기
성씨 시조 이언림(李彦林)
입향 시조 이맹훤(李孟暄)

[정의]

이언림을 시조로 하고, 이맹훤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무주군의 세거 성씨.

[연원]

흥양이씨(興陽李氏)의 시조인 이언림(李彦林)은 고려 의종 때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등 요직을 역임한 후 흥양(興陽)[현 전라남도 고흥군]으로 낙향하여 살았다. 이에 후손들이 흥양을 본관으로 하였다. 한편 7세손 이길(李吉)은 문과에 올라 봉상대부(奉常大夫) 통례문 부사(通禮門副使)에 이르렀는데, 충혜왕 때 흥양군(興陽君)에 봉해져 흥양을 관향으로 하사받았다고도 한다.

[입향 경위]

흥양이씨는 무주파를 비롯 10개 파로 나뉘는데, 이맹훤(李孟暄)이 무주에 처음 정착하였다. 이맹훤은 이길의 큰 아들 이서원의 후손인 이계참의 아들로, 조선 성종 때 함길도 병마 초토사(兵馬招討使)가 되어 외적을 물리쳐 공을 세웠다. 그러나 싸움터에서 돌아왔을 때에는 연산군이 등극하여 시국이 날로 어지러워지고 있었다. 이에 관직을 버리고 무풍으로 내려와 세상을 등지고 숨어 살았다. 자손이 대대로 살고 있다.

18세손 두천(斗川) 이만번(李晩蕃)영조 때 일어난 정희량(鄭希亮)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되었고, 두촌(斗村) 이만경(李晩景)은 효성이 남달랐고 학문이 깊었다. 특히 이만경의 효성은 뛰어나 ‘투치소(投雉所)’라는 유적지가 지금도 남아 있다. 여기에 관련된 「빙어약소와 설치자투소(氷漁躍所-雪雉自投所)」라는 설화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만경은 사후에 자헌대부 예조 판서 겸 지중추부사에 추증되었고, 고종 때에는 충의와 효행으로 정려되었다.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지동 마을에 살았던 이시발(李時發)은 독립운동가이자 애국지사인 백범(白凡) 김구(金九)가 무주를 방문하였을 때 구국의 방책을 오랜 시간 토의하는 등 구국 활동에 매진하였으며, 이시발의 아들 이종갑(李鍾甲)은 북간도와 러시아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하였다. 문장이 뛰어났을 뿐 아니라 후학 배출에 공헌이 컸던 이해교(李海敎)는 무주군의 역사를 정리한 『적성지(赤城誌)』 속편을 편찬하였다.

[현황]

2015년 현재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흥양 이씨는 539명이고, 무주군은 86명이다.

[관련 유적]

육영재(育英齋)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원평 마을에 있다. 1849년(헌종 15)에 흥양 이씨 문중에서 자제들을 인재로 길러 내기 위하여 건립한 서숙(書塾)이다. 후손들의 교육을 위한 사숙(私塾)이었으므로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헐리지 않고 계속 운영되어 지역의 수많은 인재를 양성하였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는 지역의 청소년을 위한 교육장으로 활용되었는데, 1922년 사립 무창 보통학교(私立茂昌普通學校)로 출발하여 현재의 무풍 초등학교(茂豊初等學校)로 발전하였다.

이만번 충신각(忠臣閣)무주군 무풍면 철목리 철목 마을 정문거리에 있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 때 공을 세웠는데, 1888년(고종 25) ‘충신 통정대부 병조 참의 흥양 이만번지각(忠臣通政大夫兵曹參議興陽李晩蕃之閣)’으로 명정(命旌)되었고, 그해 정각(旌閣)을 건립하였다.

철목리 이만경 효자각(孝子閣)무주군 무풍면 철목리 철목 마을에 있으며, 1888년(고종 25) ‘효자 증자헌대부 예조 판서 겸 지중추부사 흥양 이만경지려(孝子贈資憲大夫禮曹判書兼知中樞府事興陽李晩景之閭)’로 명정되었는데, 정려는 형 두천 이만번과 함께 연정(聯旌)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