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243
한자 靑邱要覽
영어공식명칭 Cheonguyoram
이칭/별칭 『청구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한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95년연표보기 - 『청구요람』 제작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작가 김정호

[정의]

1895년에 제작된 무주군이 수록되어 있는 지도.

[개설]

『청구요람(靑邱要覽)』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분첩식 대축척 전국 지도인 『청구도(靑邱圖)』를 후대에 모사한 이본으로 지금의 무주군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그 외에 『청구도』 이본으로는 국립 중앙 도서관의 『청구 경위도(靑邱經緯圖)』 2책, 한국학 중앙 연구원 장서각의 『청구도』 2책, 영남 대학교 박물관의 『여지도(輿地圖)』 2책, 고려 대학교 중앙 도서관의 『청구도』 2책 등이 있다.

[형태 및 구성]

『청구도』는 분첩식 대축척 전국 지도로 건곤(乾坤) 2책의 채색 필사본이며, 남북으로 총 29층(層), 동서로는 22판(版)으로 구분되어 있다. 『청구요람』은 1895년(고종 32)에 김정호『청구도』를 2권으로 모사한 지도이다. 최한기(崔漢綺)가 소장하고 있는 『청구도』를 보고 감탄한 조협승(曺協承)이 내각의 탁지부 주사 한승리와 한승화 두 사람에게 『청구도』를 모사하게 하여 완성하였다. 건 권의 권두에 1834년에 최한기가 쓴 『청구도』의 서문인 「청구도제(靑邱圖題)」의 내용을 옮겨 썼으며, 책 말미에는 '을미 8월 조협승 서(書)'로 기록하여 1895년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전국적으로 산과 강 등 자연 지리 정보와 호구(戶口), 전결(田結), 곡총(穀總), 군정(軍丁) 등의 인문 지리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군현 읍치는 사각형에 군현의 이름과 주위에 읍격을 표기하였고, 시대별 명칭의 변화를 병기하기도 하였다. 또한 진보(鎭堡), 역(驛), 면(面), 창(倉), 목장(牧場), 봉수(烽燧), 월경지(越境地)의 위치도 표시되어 있다. 지도식은 사방을 12개 방위로 나누고, 약 4㎞[10리] 간격의 원을 그려 위치를 바로잡도록 하는 방식이다. 또한 「본조 팔도 주현도 총목(本朝八道州縣圖總目)」, 「신라 구주 군현 총목(新羅九州郡縣總圖)」, 「고려 오도 양계 주현 총목(高麗五道兩界州縣總圖)」이 수록되어 있어 각 시대별로 『청구요람』에 대한 색인 역할을 하고 있다.

무주 지역을 보면, 주요 산과 강줄기, 지명 등과 함께 중앙에 호(戶)는 4,300, 전(田)은 3,000결, 곡(穀)은 7,900석, 병(兵)은 3,900이며, 서울에서 약 200㎞[510리] 거리임을 표기하고 있다. 관내 행정 구역으로는 북면(北面), 서면(西面), 풍서면(豊西面), 신동면(身東面), 풍동면(豊東面), 유야면(柳野面), 마천면(亇川面), 풍서면(豊西面), 횡천면(橫川面), 일안면(一安面), 이안면(二安面)이 있다. 주요 도로는 붉은색 실선으로 나타냈는데 서쪽에 있는 용담현에서 오려면 소이치(召爾峙)를 넘어 오도록 되어 있고, 무주 도호부에서 북쪽의 옥천을 가려면 노산(爐山)을 넘어 북면을 거쳐 가도록 길이 표시되어 있다.

[특징]

『청구요람』의 주요 특징으로 무주 적상산성에 사고(史庫)가 표기되어 있고 우측 주기에 사방이 암석 절벽으로 된 곳이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무주 도호부와 주위 군현 간의 경계를 보라색과 붉은색으로 표기하고 있다. 사찰 이름은 보이지 않으며, 여의산(如意山), 삼봉산(三峰山), 덕유산(德裕山), 장고산(長古山) 등과 함께 적천(赤川), 살천(薩川)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어 무주 관내의 자연 지형을 알게 해준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전국적인 자연 지리 및 행정 등에 관련된 사항은 물론 무주에 대한 지리 정보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