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1032
영어공식명칭 Gyeopjip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강원도 삼척시
집필자 옥한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겹집 -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지도보기

[정의]

온돌방이나 마루방을 대들보 방향과 평행하게 두 줄로 배치하여 평면 구조가 밭 전 자 모양을 이루는 삼척 지역의 옛 가옥 형태.

[개설]

겹집의 기원은 한반도의 함경도 지방으로, 정주간(정지간)과 부엌 사이에 벽이 없이 고방에 의한 전(田)자형 가옥이 겹집의 원형이다. 정주간형 민가는 정주간에 접속되는 방의 칸 수가 경제력이나 발달 단계에 따라 2실, 4실, 6실이 부가되는 평면 형태로 세분된다. 겹집이 나타나게 된 요인으로는 다설, 혹한 등 기후 요인이 작용하였을 수 있다. 사회문화 요인으로 인한 문화의 전파도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삼척 지역 겹집의 분포와 특징]

삼척 지역의 겹집은 해안과 산간 지역에 다수 분포한다. 이는 함경도와 이어진 남북 종단의 태백산맥이 인구 이동의 통로와 산간 기후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함경도 겹집은 가옥 중앙부에 정주간이라고 하는 생활 공간이 있다. 4개의 방이 밭 전 자 형으로 배치되면서 방앗간이나 외양간을 돌출시키지 않고 집 안에 두게 되는데 이러한 겹집은 평안도낭림산맥의 북서쪽 함경남도 동남쪽에 분포하며, 강원도 지역에도 연속해서 나타난다. 다만 강원도에서는 마루가 있는 경우가 태백산맥의 서쪽 지역에 나타나는데 반해 동쪽의 강릉, 삼척 지역은 대체로 마루가 없다.

[삼척 지역 겹집의 유형]

겹집은 산지와 평야의 점이 지대 또는 북부와 남부의 점이 지대에 해당되기 때문에 마루 유무가 중요하다. 겹집의 마루는 원래 없었거나 새로 생겨난 공간이다. 기능은 물건 보관용 광이나 곡창 및 방과의 연결통로였지만 주변 지역과의 접촉, 생활 관습에 의한 변용 공간으로 보인다. 강원도의 겹집은 마루가 없는 겹집, 퇴마루가 있는 겹집, 마루가 있는 겹집으로 나누어진다. 이 가운데 삼척에서는 마루가 없는 겹집 비율이 높다. 마구간의 위치에 의해서도 분류된다. 몸채의 일부에 가축을 기르는 내구식과 별동을 마련해 둔 외구식이 있다. 삼척은 직가형 내구식 겹집의 분포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