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지게 목발 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1274
한자 -木-
이칭/별칭 「어사용」,「어산영」,「얼사용」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집필자 이영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0년 11월 29일 - 「지게 목발 노래」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지게 목발 노래」, 『한국 민요 대전』-전라북도 민요 해설집에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 「지게 목발 노래」, 『무주 군지』 중권에 수록
채록지 지게 목발 노래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 마을 지도보기
가창권역 지게 목발 노래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성격 민요|노동요
토리 메나리토리
기능 구분 땔감 노동요
형식 구분 통절 형식|독창
가창자/시연자 정진상[남, 66세]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에서 땔감을 구하러 다니면서 부르던 노동요.

[개설]

「지게 목발 노래」는 동네 청년들이 산으로 땔감을 구하러 다닐 때에 지겟작대기로 지게 목발을 두드리면서 부르는 노동요이다. 이를 「어사용」, 「어산영」, 「얼사용」 등이라고도 한다. 난방 시설이 잘 갖추어지지 않았던 과거에는 나무꾼들이 지게를 메고 산을 돌아다니며 땔감을 구해야 했다. 땔감 구하는 작업은 매우 외롭고 고된 노동이었기 때문에, 나무꾼들은 외로움을 극복하고 피로를 달래기 위해 「지게 목발 노래」를 자주 불렀다.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지게 목발 노래」는 메나리토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나무꾼들은 지게 목발 장단에 맞춰 「지게 목발 노래」를 부르며 남들처럼 부유하게 살지 못하고 산을 떠돌아다녀야 하는 서글픈 신세를 한탄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지게 목발 노래」는 1995년 MBC 문화 방송이 발간한 『한국 민요 대전』-전라북도 민요 해설집과 2004년 무주 군지 편찬 위원회가 간행한 『무주 군지』 중권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0년 11월 29일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율오 마을 주민인 정진상[남, 66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지게 목발 노래」는 나무꾼이 지게 목발 장단에 맞춰 혼자서 부르는데, 메나리조 선법으로 짜여 있어 처량한 느낌을 준다.

[내용]

아이고 답답 내 팔자야 아 아 아 아/ 이 내 신세를 어이 하나 아/ 어는 사람은 팔자 좋아/ 고대광실 높은 집에 에 이 이/ 소리 명창 유다락에/ 우리 겉은 인생들은/ 지게 목발 뚜디리고/ 아이고 답답 내 신세야 아.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과거에는 땔감 구하는 일이 중요한 문제였다. 땔감 구하는 일은 매우 고된 일이기 때문에 주로 남자들이 도맡아 했다. 겨울철이 되면 남자들은 땔감을 구하기 위해 깊은 산골짜기를 헤매고 다녔다. 이런 과정에서 낙상을 당하거나 사나운 짐승에게 해를 입기도 했다. 혼자서 산을 헤매는 일은 두렵고 외로울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나무꾼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게 목발 노래」를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현황]

과거에는 겨울철이 되면 집집마다 땔감을 구하러 다녔다. 그러나 최근에는 난방 시설이 잘 갖춰졌기 때문에, 땔감 구하는 일은 거의 사라졌다. 더불어 「지게 목발 노래」의 전승도 단절되었다. 나이 지긋한 노인을 통해서만이 「지게 목발 노래」를 겨우 들을 수 있지만, 노래의 원형은 많이 훼손된 편이다.

[의의와 평가]

무주의 「지게 목발 노래」는 영남 지방의 「어사용」과 곡조 면에서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즉, 「지게 목발 노래」는 영남의 「어사용」처럼 메나리토리의 선율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무주 지역은 영남과 인접해 있기 때문에, 영남의 메나리토리 창법이 무주 민요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게 목발 노래」를 통해, 땔감을 사용하던 과거의 풍습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