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501207 |
---|---|
한자 | 玉梳洞龍沼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포내리 개안 마을 |
집필자 | 김선아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2년 - 「옥소동 용소」, 『내 고장 전설집』에 수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4년 - 「옥소동 용소」, 『무주 군지』 중권에 수록 |
관련 지명 | 용소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포내리 |
성격 | 설화|연못 유래담 |
주요 등장 인물 | 부부|청년|용 |
모티프 유형 | 용의 출현|기우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포내리 개안 마을에서 용소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옥소동 용소」는 투전하는 남편을 둔 착한 여인이 죽으려고 소(沼)[연못]에 몸을 던지자, 마을의 용감한 청년이 구하러 소에 뛰어들어 용을 발견했다고 하여 ‘용소(龍沼)’라 이름 지었다는 연못 유래담이다.
「옥소동 용소」는 1992년 김경석이 편찬하고 무주군에서 간행한 『내 고장 전설집』의 94쪽에, 2004년 무주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간행한 『무주 군지』 중권 등에 각각 수록되어 있다. 채록 장소와 채록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개안 마을 옥소동 산골짜기에 용소라고 불리는 깊은 연못이 있다. 옛날 이웃 중리 마을에 한 부부가 살고 있었는데, 가난한 이 부부는 날마다 부부 싸움을 했다. 아내는 착하고 근면했지만 남편은 투전에 미쳐 있었다. 아내는 남편의 태도를 고쳐 보려고 애썼지만 전혀 변화가 없었고, 살 의욕을 잃은 아내는 골짜기에 있는 연못에 몸을 던졌다. 이웃의 착한 여인이 연못에 몸을 던졌다는 이야기를 들은 마을 사람들이 여인을 구하러 연못으로 달려왔다. 마을 사람들 중 용감한 청년이 여인을 구하기 위해 물속으로 뛰어들었는데 연못 속을 아무리 뒤져도 찾을 수가 없었다. 여러 차례 연못 속으로 뛰어들어 여인을 찾던 청년은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찾아보기로 하고 연못으로 뛰어들었는데 흐려진 물속 한가운데에 뭔가 커다란 물체가 보였다. 여인이라고 생각한 청년이 급히 다가가 보니 여인이 아니라 커다란 용이 한 마리 웅크리고 있었다. 이후부터 개안 마을 옥소동에 용이 살고 있다고 하여 ‘용소’라 불리게 되었고, 그때부터 마을에 가뭄이 들면 용소 앞에 제물을 차려 놓고 기우제를 올렸는데, 기우제를 올릴 때마다 비가 내렸다고 한다.
「옥소동 용소」의 주요 모티프는 ‘용의 출현’, ‘기우’ 등이다. 용의 등장으로 인해 지명이 유래되었고, 무주군 적상면 포내리 개안 마을 사람들이 가뭄으로 힘들어 할 때 용의 신이한 힘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게 되었다는 점은 설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전개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