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501008 |
---|---|
한자 | 國立跆拳道園 |
영어공식명칭 | Taekwondowon |
분야 | 문화·교육/체육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무설로 1482[청량리 1454]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경회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태권도 체험 및 수련·연구를 위한 시설.
국립태권도원(國立跆拳道園)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무도인 태권도의 성지를 만들자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태권도의 세계화와 한류 브랜드에 걸맞은 장소를 만들기 위하여 조경, 건축물에도 한국의 전통 건축미와 자연 환경을 그대로 살리면서 조성되었다.
2004년 12월 무주군이 태권도 공원 조성지로 선정 발표되었다. 2005년 2월 7명으로 구성된 태권도 공원 조성 추진 준비단을 발족하고, 7월 태권도 진흥 재단을 설립하였다. 2007년 12월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 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2009년 9월 태권도 공원 건립 공사 기본 설계안 및 시공사가 선정되었고, 9월 4일 태권도 공원 건립 공사 기공식을 하면서 이날을 태권도의 날로 지정하였다. 2012년 2월 28일 태권도 공원을 국립태권도원으로 변경하고, 6월 29일 상량식을 거행하였다. 2014년 4월 24일 개관하였다. 사업비는 총 2475억 원이 소요되었다.
총면적 2.3㎢에 도전의 장인 체험 공간, 도약의 장인 수련 공간, 도달의 장인 상징 공간 등 3개 주요 주제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도전의 장 체험 공간은 경기장, 공연장, 박물관, 체험관에서 태권도에 대한 경험을 통해 도전 정신을 일깨우고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자신감을 키우는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도약의 장 수련 공간은 신체 단련으로 태권도 연구와 전문 연수를 통해 신체와 정신의 조화를 이루어 진정한 태권도인으로 한 단계 성장하는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도달의 장 상징 공간은 태권도 고단자의 명인들의 얼을 기리고 태권도의 근본 정신을 계승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국립태권도원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전망대에는 모노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백두 대간인 민주지산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능선들을 감상할 수 있다. 숙박 시설은 1인실, 2인실, 4인실, 8인실, 디럭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1,400명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규모이다.
국립태권도원은 태권도 진흥을 위한 조사·연구, 태권도 보급과 홍보, 태권도 관련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사업, 태권도 관련 프로그램과 상품의 개발 및 보급 사업, 태권도원을 세계적인 명소로 개발 및 육성 사업, 태권도 진흥을 위한 모금과 자금 지원에 관한 사업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태권도 관련 국제 경기, 체험, 수련, 교육, 연구, 교류 등 세계 유일의 태권도 전문 공간이다. 구체적인 활동으로는 체험, 교육, 대회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각종 국내외 대회와 외국인들의 체험 및 교육, 세계 태권도 문화 엑스포츠, 2017년 세계 태권도 대회, 세계 어린이 태권도 대회 등을 통해 태권도 성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있다. 전 세계인이 태권도를 통해 한국을 느끼고 한국의 얼을 느낄 수 있는 문화 공간이라고 평가 받는다. 재단 법인 태권도 진흥 재단이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