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새마을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790
한자 -運動
영어공식명칭 Saemaul Movemen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소순열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지역에서 생활 환경 개선과 소득 증대를 위해 1970년대부터 시작된 지역 사회 개발 운동.

[개설]

새마을운동은 1970년 4월 박정희(朴政熙) 대통령이 새마을 가꾸기 운동을 제창하면서 시작되었다. 새마을 운동은 ‘근면·자조·협동’을 기본 정신으로 하여 낙후된 농촌을 근대화시킨다는 취지로 출발했으나, 이후 도시, 직장, 공장과 학교에까지 확산되는 범국민적 정신 운동으로 확대·추진되었다. 전라북도 무주군도 정부의 시책에 따라 1972년에 새마을운동이 시작되었고, 이후 마을 가꾸기 사업에다 정신 계발 및 소득 증대 사업 등을 추가하여 새마을운동을 추진하였다.

[무주군 새마을 사업의 전개 과정]

1972년 1월 무주 군청이 새마을계를 신설했고, 1973년 2월에는 새마을계를 새마을과로 확대 개편하였다. 당시 무주 군청은 전체 마을에 시멘트 335포대를 무상으로 지원하여 마을 진입로 정비, 공동 우물, 퇴비장, 소류지를 정비하는 농촌 환경 개선 사업을 하였다. 그리고 정부 방침에 따라 마을 수준을 기초 마을, 자조 마을, 자립 마을로 구분하여 수준에 맞게 새마을운동을 전개하도록 하였다. 1972년 당시 전라북도 무주군의 총 136개 마을[법정리] 중 기초 마을은 77개, 자조 마을은 46개, 자립 마을은 13개였다. 이후 새마을운동의 진전에 따라 기초 마을은 27개로 감소했고, 자조 마을은 85개, 자립 마을은 24개로 각각 증가하였다. 1980년에 들어서 무주군 전체 마을은 147개 자립 마을로 전환되었다. 1982년에는 마을 수준을 자립 마을 외에 자영 마을과 복지 마을을 첨가하였다. 1985년 무주군의 마을 중 자립 마을은 48개, 자영 마을은 87개, 복지 마을은 13개였다.

새마을 담당 부군수제 신설에 따라 무주 군청에서는 1974년에 새마을과를 폐지하고 새마을계·개발계·기획 예산계를 신설한데 이어 감사계를 신설하고, 1978년에 주택계를 보강하여 부군수 밑에 5개의 계를 두고 새마을운동을 총괄하도록 하였다. 1979년에는 다시 새마을과를 설치하여 새마을운동을 전담하게 하였다. 당시 무주 지역 새마을운동의 주요 사업은 지붕 개량, 부엌 및 화장실 개선 등의 생활 개선과 마을 안길 확장 및 소교량의 개설, 농로 개설과 정비, 공동 축사 및 창고 건설 등의 생산 기반의 확충이었다.

정부 주도로 추진해온 새마을운동은 1980년에 들어와 민간 주도로 전환하여 추진되었다. 그동안 추진되어온 새마을 관련 사업은 상당수가 민간으로 이양되었다. 무주군 행정 분야에서는 1990년 중반 이후로 ‘새마을’이라는 명칭과 직결되는 사업은 자취를 감추었다. 현재 새마을 관련 단체로는 새마을운동 중앙회 무주군 지회, 새마을 지도자 무주군 협의회, 새마을 부녀회가 있다.

[의의와 전망]

전라북도 무주 지역의 새마을운동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농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자발적인 주민 참여 개발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평가와는 달리 물질주의의 관 주도 개발로 농촌이 파괴되었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있다. 현재 무주 지역의 새마을운동은 주로 1984년에 창립된 새마을운동 무주군 지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김장 나눔과 우리 차 무료 시음회, 농약 공병 모으기 등과 함께 어려운 이웃 돕기에도 힘쓰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