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
-
전라북도 군산 지역 출신으로서 부모 및 시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섬긴 인물. 조선 시대를 지배한 사상은 유교였다. 유교 사회에서는 삼강오륜(三綱五倫)을 가장 중요한 도덕 덕목으로 손꼽았다. 조선 사회에서의 유교의 영향력은 같은 시기의 중국의 명과 청 사회나, 일본의 무로마치 막부나 에도 막부 사회보다 강력하였다. 가장 유교적인 사회가 다름 아닌 조선이었다. 삼강오륜이라...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효자 부자(父子). 강응원(姜應元)과 강영무(姜永武)는 옥구현에 세거한 진주 강씨 호부사공파(戶部事公派) 출신으로, 서로 부모와 자식 사이인데, 부모에게 지극한 효도를 다하였다. 이에 정부에서 정려(旌閭)를 세울 것을 명령하였고, 이들의 효행을 기록한 효행비가 지금도 남아 있다. 강응원과 강영무의 본관은 진주(...
-
일제 강점기 군산 지역 출신의 효자. 고병성(高炳星)은 조선 말기로부터 일제 강점기 초기 사이의 시기에 군산에 살았던 효자로서, 제주 고씨 문충공파 사직공파 출신이다. 고병성은 어린 나이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자 정성을 다하여 상을 치렀고, 아버지를 정성껏 봉양하였는데, 고병성의 처(妻) 두릉 두씨 역시 봉제사(奉祭祀)와 접빈객(接賓客)을 성심껏 하였다. 고병성...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임피현] 출신 효자. 고제룡(高濟龍)은 임피현에 세거한 제주 고씨 문충공파 사직공파 출신으로 홀어머니를 모심에 지극한 효성을 다하였다. 그 결과 그의 효행을 기린 정려가 세워졌다. 고제룡은 제주 고씨 옥구 입향조 고돈겸(高惇謙)의 24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처윤(高處崙)이고, 할아버지는 고경수(高敬壽)이다. 아버지는 고기영...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옥구현] 출신의 효자와 효부. 김보순(金輔淳)은 개성 김씨 시조 김용주(金龍珠)의 21세손이고, 조선 시대 옥구현에 세거한 개성 김씨 쌍봉리파 입향조 김윤신(金允信)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종필(鍾弼), 할아버지는 장옥(章玉), 증조할아버지는 동웅(桐雄)이고, 외할아버지는 조진국(趙鎭國)[본관은 풍양]이며, 처는 전현숙(田賢淑)[본관은 담...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효자와 효부. 김장옥(金章玉)과 그의 처 제주고씨는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봉양하였는데, 이들의 효행이 널리 알려지자 마침내 조정에서 정려를 세울 것을 명하였다. 김장옥은 개성 김씨 시조 김용주(金龍珠)의 19세손이고, 개성 김씨 옥구 쌍봉리파 입향조 김윤신(金允信)의 11세손이다. 아버지는 상웅(...
-
조선 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 효자. 두세준(杜世俊)은 조선 전기 군산 지역[옛 옥구현]에 세거한 두릉 두씨 가문 출신으로, 어머니에게 지극한 효성을 다하여 그 효행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자 정부에서 정려를 건립할 것을 명하였는데, 중종 년간에 건립된 효자 정려가 지금도 남아 있다. 두세준은 두릉 두씨 시조 두경령(杜慶寧)의 12세손이고, 증조...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효자. 두안복(杜安復)은 군산에 세거한 두릉 두씨 가문 출신으로,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여 효행이 세상에 널리 알져지자, 1869년(고종 6)에 정부에서 정려를 세울 것을 명령하였고, 동몽 교관(童蒙敎官)으로 증직하였다. 당시 세운 정려가 지금도 남아 있다. 두안복의 자(字)는 이형(理亨)이며, 호(號)는 극헌(...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효자와 효부. 문몽상(文夢尙)은 군산 지역에 세거한 남평 문씨 시중공파 출신으로 부모에게 효성을 다하였다. 문몽상의 처 남원양씨는 군산 지역에 세거한 남원양씨 이조판서공파 출신으로 남편과 함께 홀로된 시어머니를 정성을 다하여 봉양하였다. 마침내 1938년에 이들 부부의 효행을 기리는 효자비가 건립되었다. 문몽상...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효자. 문흥주(文興周)는 옥구에 세거한 남평 문씨 시중공파 출신으로,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홀로된 아버지를 정성껏 봉양하고 병 간호를 해드렸다. 마침내 문흥주의 효행이 조정에까지 알려져 조선 정부에서 1795년(정조 19)에 정려를 세울 것을 명하였다. 문흥주는 남평 문씨 시조 문다성(文多省)의 37세손이고,...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효자. 문희석(文希奭)과 문계인(文啓仁)은 군산 지역[옛 옥구현]에 세거한 남평 문씨 시중공파 출신으로 부모에게 지극한 효성을 다하였고, 그 효행으로 유림들의 천거를 받았다. 마침내 정부에서는 이들의 효행을 기리는 정려를 1870년(고종 7)에 건립하였다. 문희석은 남평 문씨 시중공파로서 시조 문다성의 37세손...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임피현] 출신의 효자. 이빈(李彬)은 임피에 세거한 전주 이씨(全州李氏) 시중공파(侍中公派) 문정공파(文正公派) 임피 성동파(臨陂城東派) 취남파(鷲南波) 출신으로 효행이 깊자, 어사(御使) 이진순(李眞淳)이 특별히 포상해 줄 것을 임금에게 아뢰어, 정려(旌閭)가 세워졌다. 이빈의 자(字)는 자문(子文)이다. 전주 이씨 시조 이...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옛 임피현] 지역 출신 효자. 채기영(蔡基永)은 조선 시대 임피현에 세거한 평강 채씨 소감공파 출신으로 부모가 살았을 때는 봉양을 다하였고, 부모가 돌아가심에는 그 추모함에 효성을 다하였다. 이에 정부에서 정려를 세울 것을 명령하였는데, 당시 세운 효자비가 지금도 남아 있다. 채기영의 자(字)는 여종(汝宗)이다. 평강 채씨 시조 채송...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옛 임피현] 지역 출신의 효자. 채동구(蔡東九)는 조선 시대 임피에 세거한 평강 채씨 목사공파 출신으로 부모가 살아서는 봉양을 다하였고, 돌아가셔서는 추모를 다하였다. 채동구는 평강 채씨 시조 채송년(蔡松年)의 22세손이고, 임피 입향조 채지생의 16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채광오(蔡光五)이고, 할아버지는 채석진(蔡碩鎭)이며, 아버지는...
열녀
-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남편을 헌신적으로 돌보거나 남편에 대한 절개를 굳게 지킨 여자. 조선 시대를 지배한 사상은 유교였다. 유교 사회에서는 삼강오륜(三綱五倫)을 가장 중요한 도덕 덕목으로 손꼽았다. 조선 사회에서의 유교의 영향력은 같은 시기의 중국의 명과 청 사회나, 일본의 무로마치 막부나 에도 막부 사회보다 강력하였다. 가장 유교적인 사회가 다름 아닌 조선 사회였던...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열녀. 강계팔(姜啓八)의 처(妻) 두릉두씨(杜陵杜氏)는 조선 시대 옥구현(沃溝縣)에 세거한 두릉두씨(杜陵杜氏) 가문 출신이며, 친정에서는 부모를 섬김에 효도를 다하였고, 시집 와서는 시부모를 섬김에 정성을 다하였으며, 남편을 공경함에 예(禮)를 다하였다. 강계팔은 진주 강씨(晉州姜氏) 시조 강민첨...
-
고려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열녀. 제주고씨(濟州高氏)는 고려 시대 군산에 세거한 제주고씨 가문 출신으로 광산 김씨 김수에게 시집을 가서, 감찰관으로 파견된 김수에게 어느 농장 주인이 뇌물을 주려는 것을 받지 않았으며, 삼별초의 난이 일어나 남편이 영광 군수로서 제주도로 파견되었을 때, 남편의 부하 부인들이 뇌물을 주려는 것을 역시 받지 않았다. 남...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 효부(孝婦). 평산신씨(平山申氏)는 조선 후기 군산 지역에 세거한 평산신씨 제정공파 출신이며, 역시 군산 지역에 세거한 두릉 두씨 가문 출신인 두건표(杜建杓)에게 시집을 가서, 시부모를 공경함에 효도를 다하였고, 어려운 이웃들을 궁휼히 여겨 기꺼이 도와주었다. 도내 유림들의 천거로 그 사실을 기리는 비석이 건립되었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열녀이자 효부. 남평문씨는 군산 지역에 세거한 남평문씨 호부사공파 출신이며, 17세에 군산에 세거한 두릉 두씨 두재하에게 시집을 갔다. 신혼 직후부터 남편이 병이 깊어 병 수발을 드는데 전념을 다하였으며, 남편이 죽고 나서는 물 한 모금도 먹지 않고 죽으려 하였으나 시부모가 만류하자, 조카를 입양하고 시부모를 정성껏 봉양...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 효부. 문덕중 처 전주 이씨는 임피에 세거한 전주이씨 익안 대군파 출신으로, 회현에 자리잡은 남평 문씨 시중공파 출신 문덕중(文德中)에게 시집을 와서 시부모를 섬기는데 정성을 다하였고, 마침내 정부에서 그 효행을 기리는 정려비를 세웠다. 문덕중 처 전주 이씨는 익안 대군(益安大君)의...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효부. 문명로 처(妻) 장흥 오씨는 군산 지역에 세거한 장흥 오씨 가계 출신으로, 역시 군산에 세거한 남평 문씨 시중공파 출신인 문명로(文鳴魯)에게 시집을 갔다. 남편과 함께 시부모를 정성껏 모셨으며, 남편이 젊은 나이에 사망하자 남편의 장례를 예의를 다해서 치루었다. 장흥오씨의 효행을 기리는 정려가 193...
-
19세기 군산 출신의 효부. 문정학(文正學)은 군산에 세거한 남평 문씨 시중공파 출신으로 1880년(고종 17) 증광시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효자로 유명하였고, 문정학 처 진주강씨(晋州姜氏) 역시 효부로 알려졌다. 문정학 처 진주강씨의 정려가 현재 옥산면 남내리 남내 부락에 있다. 문정학(文正學)의 증조할아버지는 문택주(文宅周)이고, 할아버지는 문명준(文命俊)...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 효부. 제주고씨는 군산 지역에 세거한 제주고씨 문충공파 출신으로, 역시 군산 지역에 세거한 남평 문씨 시중공파 출신인 문한규에 시집을 갔다. 남편과 시부모를 섬김에 지극한 정성을 보였으며, 국가에 대흉년이 들자 자신의 재산을 털어 어려운 이웃을 보살펴 주었다. 문한규 처 제주 고씨(濟州高氏)의 아버...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임피현] 출신의 열녀. 남평문씨(南平文氏)는 옥구에 세거한 남평문씨 시중공파 출신으로, 옥구에 세거한 신의균에게 시집을 갔다. 남편이 기이한 질병에 걸리자 백방으로 약을 구하였고, 다리 살을 베어 다리어 주었으며, 손가락을 잘라 피를 주혈하여 생명을 연장시켰다. 유림들이 그 열행을 기록한 효열비를 건립하였다. 남평문씨는 옥구에...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효부 및 열녀. 제주고씨(濟州高氏)는 옥구에 세거한 제주고씨 문충공파 참의공파 출신이며, 역시 옥구에 세거한 담양 전씨 참판공파 참의공파 출신 전극추에게 시집을 갔다. 시모부를 정성을 다하여 섬기자 효부로 칭찬이 자자하였고, 남편이 갑작스런 병으로 사망하자 사흘 동안 물 한 모금 마시지 않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효부 남평문씨(南平文氏)는 옥구에 세거한 남평문씨 시중공파 출신으로, 옥구에 세거한 담양 전씨 참판공파 참의공파 출신 전만배(田萬培)에게 시집을 갔다. 병든 남편의 병 간호를 정성을 다하여 하였고, 남편이 사망한 이후 홀로 된 늙은 시어머니를 정정껏 봉양하였다. 이에 유림들이 효열비를 세웠는데, 그 효열비가 지금도 남아...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효부. 남평문씨(南平文氏)는 옥구에 세거한 남평문씨 시중공파 출신으로, 전병순(田炳淳)에게 시집을 갔다. 남편이 깊은 병에 걸리자 병 간호를 극진히 하였으며, 남편이 사망한 이후 늙은 시아버지를 더욱 공경하였다. 이에 유림들이 효열비를 세웠는데, 그 효열비가 지금도 남아 있다. 남평문씨는 문익점의 후손이고, 아...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열녀. 가평이씨(加平李氏)는 전수일(田壽日)과 혼약하였으나, 친영[신랑이 신부집에 가서 예식을 올리고 신부를 맞아오는 예]을 하기 직전에 남편이 사망하자 자결하려 하였으나 주위의 만류에 미수에 그쳤고, 이후 시모부를 정성껏 섬겼다. 효열비가 건립되었다. 가평이씨는 이인기(李寅箕)의 딸이다. 남편 전수일은 옥구에...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의 열녀. 원주원씨(原州元氏)는 옥구에 세거한 성씨 출신으로, 역시 옥구에 세거한 전시번(田時蕃)에게 시집을 갔다. 그러나 전시번이 이른 나이에 사망하고 아이 마저 낙태하자, 남편이 사망한 이듬해 목을 매어 남편의 뒤를 따랐다. 원주원씨는 대경공(大經公) 원전(元傳)의 후손이고, 아버지가 원필직(元弼直)이다. 남편...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옥구현] 출신 효부. 남평문씨(南平文氏)는 옥구에 세거한 남평문씨 시중공파 출신으로, 옥구에 세거한 담양 전씨 참판공파 참의공파 출신인 전익성(田益成)에게 시집을 갔다. 시부모를 정성을 다하여 봉양하였으며, 남편이 병이 들자 사방으로 약을 구하여 마침내 남편의 병을 낫게 하였다. 이에 조정에서 정려를 세울 것을 명령하였고, 당시에 세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