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당진문화대전 > 당진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 전승·언어·문학) > 언어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중심으로 생각이나 느낌을 말 또는 글로 전달하는 수단이나 체계. 충청남도 방언에 대해 일제 강점기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와 고노 로쿠로[河野六郞] 등은 독립성을 인정하지 않은 채 경기 혹은 중선 방언(中鮮方言)의 하위 방언으로만 설정했다. 하지만 1963년과 1965년에 도수희와 1972년에 김형규는 충청도 방언이 독자...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사용하는 방언. 초창기의 방언 연구에서는 충청도 지역어를 경기 방언권으로 예속시켰으나 지금은 충청도 지역을 차령산맥을 경계로 하여 세 개의 방언권으로 선정한다. 제1방언권은 아산·천안 지역이며, 제2방언권은 서산·당진·홍성·예산 지역이다. 제3방언권은 서천·보령·부여·청양·공주·연기·논산·대덕·금산 지역이다. 당진 지역은 제2방언권에 속한다....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사용되는 신체와 관련된 특유한 단어나 언어적 현상. 방언의 변천은 지리적, 문화적, 정치적인 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지리적으로는 교통이 원활히 소통되는 곳이 그렇지 않은 곳보다 전파가 빨리 이루어진다. 문화적으로는 문화가 발달한 곳에서 발달하지 못한 곳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러 요인으로 인한 방언의 전파에도 불구하고 자기 방언의 특...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사용되는 음식 관련 방언. 당진 지역 방언의 특질은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와 함께 중부 지역 방언의 성격이 짙으며, 음식 방언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음식과 관련된 방언의 예는 다음과 같다. 가양주(家釀酒): 가용주|간수: 갠수|간장: 지랑|겉절이: 얼절이|겸상: 점|곁두리: 젓밥, 새참|곶감: 건시|고욤: 고염, 게염|고추장:...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사용되는 의복 및 옷 입는 행위와 관련된 방언. 충청남도 당진 지역 방언의 특징은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와 함께 중부 지역 방언의 성격이 짙으며, 의생활 관련 방언에서도 어느 정도 일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의복과 관련된 어휘의 형성과 발달은 당진 지역의 삶의 문화를 알려 주는 소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다음은 당진 지역에서 사용되는...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사용되는 주거 문화와 관련된 특유한 단어나 언어적 현상. 주거 문화는 거주지의 지형과 지세에 따라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 주며, 생활권을 형성해 그 지역의 문화를 보여 주고, 그 지역만의 방언[사투리]을 형성한다. 따라서 주거생활과 관련된 당진 방언 역시 충청남도 지역 방언과 비슷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사용되는...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종교적이나 도덕적으로 꺼리거나 금지되는 언어 표현. 일상생활에서 해서는 안 되는 말을 금기어라고 한다. 금기어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금기어의 유형은 일상생활의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금기어는 사람에게 많은 충고와 견제의 효과를 제공한다. 금기어는 과학성은 떨어지나 교훈성과 도전성을 담고 있어 사회의 문화적 영역을 풍성하게...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마을 주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복을 받게 하거나 동네에 평안을 가져다 주는 말. 일찍이 우리 조상들은 어떠한 사실이 일어나기 이전의 현상이나, 또는 그 원인과 결과를 결부시켜 어떠한 인과 관계에서 나타난다고 생각하는 현상이 있다. 다시 말하면 어떠한 징조나 전조(前兆)에 의하여 결과를 상상하고 결단을 내려 예비적인 행동을 하는 동시에 실천에 옮겨...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풍자나 교훈을 담아 비유의 방법으로 서술하는 관용 어구. 일반적으로 속담은 낱말은 아니지만 특별한 문화적·사회적 관념을 나타내기 때문에 어휘에 준하는 것으로 다루어 사전에 등록된다. 어떤 표현 하나가 속담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우선 속담은 개인의 비유의 발언에서 비롯한다. 그 비유는 처음부터 마음속에 품고 있던 기발한 착...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서 주로 은유를 써서 대상을 정의하는 언어 표현. 수수께끼는 기억하기가 아주 간단하고 전달과 보급이 쉬울 뿐 아니라, 개인 창작의 것이 아니고 심리적 및 기능적 필요에서 생겨난 인간적 언술(言述)의 근원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수수께끼는 다른 구비 문학과는 달리 화자(話者)와 청자(聽者) 쌍방이 참여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구성은 질문과 답변의 형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