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국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693
한자 金國禧
영어공식명칭 Gim Gukhui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효자·열녀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송만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73년연표보기 - 김국희 출생
출생지 김국희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 지도보기
성격 효자
성별
본관 김해(金海)

[정의]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효자.

[가계]

본관은 김해(金海).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희생된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13세손이며, 아버지는 가선대부 중추부사(嘉善大夫中樞府事)를 지낸 김재선(金在善)이다. 부인은 장수 황씨(長水黃氏)이다.

[활동 사항]

김국희(金國禧)[1773~?]는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에서 태어났으며, 정조[재위 1776~1800] 때 첨지(僉知)를 지냈다. 사서(史書)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김국희는 매우 순박한 성품의 소유자였다. 또 예의범절을 지키는 데 있어서도 단 한 치의 오차도 없었다. 이웃들이나 혹은 종중원들과도 언제나 화목하게 지냈으며, 몸가짐 역시 나무랄 데 없이 반듯하였다. 김국희의 효행은 무주에서 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에까지 널리 알려졌다. 특히 아버지가 병에 걸려 자리에 눕자 최선을 다해 보살폈으며, 아버지가 위급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내 이를 먹여 연명하게 하였다. 아버지가 돌아간 후에는 아버지의 무덤 옆에 초막을 짓고 상복도 벗지 않은 채 3년 동안 묘 옆을 떠나지 않았다. 김국희가 시묘살이를 할 때 그의 효성에 감복한 호랑이가 나타나 그를 보호해 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상훈과 추모]

김국희의 효행은 그가 세상을 떠난 후인 1830년대에 이르러 무주 및 인근 지역의 유생들에 의해 조정에 보고되었다. 당시 유생들은 김국희가 그 누구보다 효심이 깊은 사람이므로 마땅히 정표를 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김국희에 관한 사실을 조사해서 보고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김국희는 1830년대에 가선대부 중추부지사(嘉善大夫中樞府知事)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