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조선시대 무주군 선생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619
한자 朝鮮時代茂朱郡先生案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문미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2008년연표보기 - 『조선시대 무주군 선생안』 간행
소장처 무주 문화원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최북로 15[당산리 918-3]지도보기
간행처 무주 문화원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최북로 15[당산리 918-3]
성격 향토 사료집
저자 윤명채
편자 윤명채
번역자 윤명채
간행자 김경석
표제 조선시대 무주군 선생안

[정의]

무주 문화원에서 조선시대 무주 지역에 재임하였거나 임명되었던 관리들의 이름과 그들의 행적을 모아 2008년에 발행한 책.

[편찬/간행 경위]

『조선시대 무주군 선생안(朝鮮時代茂朱郡先生案)』은 조선시대 무주군에 부임하여 봉직한 수령들의 명단과 각 수령의 재임 당시 정치·행정·사회상 무주와 관련되어 일어난 일들, 그 외의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으로 무주 지역을 찾아왔던 인물들의 묵향(墨香) 등을 수록·번역한 향토사지이다. 무주군은 읍지인 『적성지(赤城誌)』에 선생안이 실려 있어 전임 수령들의 명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적성지』의 선생안보다 앞 세대의 누락된 인물이 존재하고, 그 외에 제수받았으나 부임하지 못하여 선생안에 수록되지 못한 현감이나 부사들도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누락된 인물들을 포함한 새로운 선생안 제작의 필요성이 있어 『조선시대 무주군 선생안』을 간행하였다. 2008년에 발행되었으며, 발행처는 무주 문화원이다. 무주 문화원장인 김경석이 기획하고, 윤명채가 저술하였으며, 편집은 무주 향토사 연구소에서 맡았다.

[형태]

판형은 4·6배판[188㎜×257㎜]이며, 분량은 293쪽 1책이다.

[구성/내용]

『조선시대 무주군 선생안』의 편제는 크게 현감 시대, 부사 시대, 군수 시대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는 조선 초기 무주의 행정 구역이 현이었다가 1674년(현종 15)에 도호부로 승격되고,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에 군으로 개편된 데에 따른 것이다. 편제는 시대순으로 되어 있고, 각 시대별 인물, 관안, 치적, 당시의 사건·사고를 수록하였다.1장 현감 시대에는 1425년(세종 7)~1673년(현종 14)에 무주 지역에 임명되었던 현감 66명이 수록되어 있다. 『적성지』에 수록되어 있는 유세화(柳世華)·채무적(蔡無敵)·김춘(金春)·이예(李藝)·한경희(韓景禧) 등 53명과 세종조에서 중종조까지의 인물인 유중경(柳仲敬)·문구종(文九宗)·백여명(白汝明)·이계수(李桂遂) 등 8명,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은 정지(丁至)·노사회(盧士誨) 등 5명이 이 시대에 포함되었다. 이를 다시 조정별로 구분해 보면, 세종조에 유중경 등 3명, 세조조에 1명, 연산조에 1명, 중종조에 2명, 명종조에 유세화 등 7명, 선조조에 이소(李沼) 등 26명, 광해조에 심원(沈綩) 등 3명, 인조조에 이광선(李光先) 등 10명, 효종조에 이정현(李靖賢) 등 7명, 현종조에 남득붕(南得朋) 등 5명이다.

2장 부사 시대에는 무주가 도호부로 승격되면서 임명된 부사 148명의 명단이 올라 있다. 가장 처음 무주부 사직에 제수된 조창기(趙昌期)와 조세환(趙世煥)·변황(卞榥)·허정(許挺)·유헌(兪櫶) 등 135명과 부사직을 제수받았으나 상출 등의 이유로 부임하지 못한 정재대(鄭載岱)·심박(沈樸)·박필명(朴弼明) 등 14명이 이 시대에 포함되었다. 조정별로는 현종조에 1명, 숙종조에 조세환 등 36명, 경종조에 이광조(李光朝) 등 6명, 영조조에 윤혜교(尹惠敎) 등 34명, 정조조에 유한갈(兪漢葛) 등 13명, 순조조에 김만순(金晩淳) 등 17명, 헌종조에 이희승(李羲升) 등 7명, 철종조에 홍배후(洪配厚) 등 12명, 고종조에 윤성선(尹性善) 등 21명이다. 3장 군수 시대에는 이탁(李倬)·박성연(朴性淵)·조병유(趙秉瑜)·민술호(閔述鎬)를 비롯한 10명의 군수가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 무주군 선생안』『적성지』에 누락된 인물들을 포함시켰을 뿐 아니라, 실록이나 개인의 기록 속에 감추어져 있던 당시의 무주 관련 사건, 문인의 작품 등을 발굴하여 수록함으로써 무주의 향토사를 새롭게 엮어 냈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조선시대 무주군 선생안』의 발간으로 무주의 역사가 새로이 표출되어, 지역민들에게 전통문화의 고장인으로서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