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무주군에 서식하는 잉어과의 민물고기. 몸길이는 약 15㎝로 길고 좌우로 납작하다. 머리는 비교적 큰 편이며, 눈도 크고 눈 위에 초승달 모양의 붉은 반점이 없어 유사종인 갈겨니[Zacco temminckii]와 차이가 난다. 주둥이는 짧고 다소 뭉툭하다. 입 주변에 수염은 없으며, 옆줄은 몸의 중앙부에서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이어진다. 배 쪽은 노란색을 띠며, 등...
-
전라북도 무주군에 서식하는 미꾸리과의 민물고기. 몸길이 약 10㎝로 굵고 길며 약간 좌우로 납작한 형태이다. 눈 밑에 날카로운 가시인 안하극이 존재한다. 옆줄은 몸을 따라 일부만 나타나며,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거의 직선에 가깝다. 수컷은 가슴지느러미의 두 번째 지느러미살이 길어 새의 부리처럼 뾰족해 보이며, 기부에는 가늘고 긴 막대 모양의 골질판이 있다. 몸의 등...
-
황충준을 시조로 하고, 황힐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무주군의 세거 성씨. 창원황씨(昌原黃氏)의 시조는 고려 성종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황충준(黃忠俊)이다. 창원황씨는 황충준을 시조로 하는 시중공파(侍中公派) 외에 고려 충정왕 때 문하평장사를 지낸 황석기(黃石奇)를 시조로 하는 공희공파(恭僖公派), 고려 시대에 호장을 지낸 황양충(黃亮沖)을 시조로 하...
-
조선 후기 무주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서(聖瑞), 호는 채포(蔡圃). 죽헌(竹軒) 최활(崔活)의 6세손이다. 최봉래(崔鳳來)는 어려서부터 몸집이 좋은 거인(巨人)이었다. “살아서 세상에 유익함이 없고, 죽어서 후세에 남김이 없으면 누가 대장부라 하랴.” 하면서 경사(經史)를 두루 탐구하고 무예를 열심히 닦았다. 1728년(영조 4)...
-
개항기 무주 출신의 의병. 본관은 흥양(興陽), 호(號)는 척산(尺山). 아버지는 이시발(李時發)이다. 이시발은 1894년(고종 31) 교우하던 유완무(柳完茂)가 나라를 걱정하며 가정을 돌보지 못하고 활동할 때 그와 뜻을 같이하면서 그의 처자식을 친히 돌보았다. 김구(金九)가 무주를 방문하자 상봉하여 구국의 방책 등에 대하여 장시간 토론하였다. 한편, 어버이를 잃고 의탁할 곳이 없...
-
전라북도 무주군을 상징하는 군화(郡花). 철쭉은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학명은 Rhododendron schilippenbachii Maximowicz이다. 종명에 쓰인 ‘슈리펜바키’는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이 꽃을 처음 발견하여 서방에 소개한 러시아 해군 장교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철쭉’이란 이름은 한자 척촉(躑躅)에서 유래되었으며, 꽃봉오리...
-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천경(天景), 호는 회계(晦溪). 아들은 죽재(竹齋) 서인주(徐仁周)이다. 서천발(徐天發)[?~?]은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에서 태어났다. 효행이 뛰어났으며 예학(禮學)에 밝아 학문을 연마하고 후진을 양성하는 데 전념하였다. 사후에 가선대부 한성부 좌윤(嘉善大夫漢城府左尹)에 추증되었다. 1777년(정조 1...
-
조선 전기 무주 도산 서원에 배향된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천경(天經), 호는 임회당(臨淮堂). 고려수절신(高麗守節臣)[여말 선초 성리학의 대의명분을 지켜 조선조에서 벼슬을 하지 않고 절개를 지킨 고려 말의 학자들] 박힐(朴詰)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초산 군수를 지낸 박인(朴麟)이다. 박힐이 충청남도 금산에 들어와 은거하면서 후손들이 대대로 금산군 남일면에서 세거하였다....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장기리에 있는 건강 식품 제조업체. 무주덕유산반딧골영농조합법인은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천마를 재배하는 농민들이 농업 경영의 합리화를 통해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농산물의 공통 출하 및 가공 수출 등을 통해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해 설립하였다. 2001년 3월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안성 농공 단지에 천마를 가공한 식품류를 생산 판매...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에 있는 폭포. 빼어난 경관을 제공해서 옛부터 하늘 아래 단 하나뿐인 폭포라 하여 천일폭포(天一瀑布)라고 부른다. 적상산(赤裳山)[1,034m]의 상부는 화산 폭발 시 공중으로 비산한 화산재, 암석 파편, 광물들이 떨어져 쌓인 화산 쇄설물인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응회암이 두껍게 쌓인 후 식으면서 발생한 부피 감소에 의해 절...
-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활동하는 로마 가톨릭교. 무주 지역의 천주교 전래는 1866년(고종 3) 이전 무주군 안성면 진도리 여우내에서 시작되었다. 박해를 피해온 신자들이 모여 교우촌(敎友村)을 형성하면서 이 지역에서 천주교 신앙 공동체를 형성한 것이다. 그 당시 여우내를 비롯한 여러 곳에 교우촌이 형성되어 최양업 신부와 다블뤼 신부 등이 이 지역을 사목 방문하였다...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음력 5월 5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속. 단오는 양의 수인 5가 겹치는 날로서, 일 년 중에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이다. 따라서 단오는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꼽는데 ‘수릿날’,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午節)’, ‘단양수리’ 등으로도 불린다. 단오는 보리농사를 많이 짓는 중부 이북 지방에서 추수 감사제로 생각하여 큰 명...
-
개항기 무주 출신의 유생이자 의인.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천휴(天休). 아버지는 양사재를 세우고 교화를 펼친 하재황이며, 아들은 무주 향교 대성전(茂朱鄕校大成殿)을 보수하고 후학을 양성한 하태호이다. 하대호(河大鎬)[1819~1870]는 지금의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편 현내리에서 출생하였다. 1866년(고종 3) 8월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침공하여 일으킨 병인양요(...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철기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 청동기 시대가 민무늬 토기[무문 토기]와 청동기를 표지로 하는 시대라면, 철기시대는 철기를 표지로 하는 시대이다. 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철기시대는 세계적으로 공인된 고고학적 편년 체계로서 덴마크의 톰센(C. J. Thomsen)이 제안한 3시대법(三時代法)에 근거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청동기의 발전과 철...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에 속하는 법정리. 철목리(哲木里)는 가장 큰 자연 마을인 철목 마을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원래는 ‘철목(哲目)’으로 썼으나 훗날 ‘철목(哲木)’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풍남면의 철목리와 풍동면의 고도리를 합하여 무주군 무풍면 철목리로 개설하였다. 원철목 마을, 신기[새터] 마을, 묘암[괘바우] 마을, 우평[소...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철목리에 있는 개항기 옥산장씨의 열녀각. 옥산장씨(玉山張氏)는 흥양인 이철구(李喆龜)에게 시집온 뒤 시할아버지와 시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어느 날 남편이 병에 걸려 해가 갈수록 깊어 가자 시할아버지가 염려할 것을 걱정하여 차도가 있다고 위로하였고, 홀로인 시어머니가 식음을 전폐하고 있음을 민망하게 여기고 지성으로 모시면서 공양하였다....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철목리에 있는 원삼국~조선 시대 유물산포지. 철목리 유물산포지(哲木里遺物散布地)는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철목리에 있는 무풍 삼거리와 무풍 사거리를 흐르는 남대천(南大川) 주변 경작지와 산줄기 하단부에 분포한다. 철목리 유물산포지1은 무풍 사거리에서 도로를 따라 서북쪽으로 약 1.2㎞가량 이동한 지점의 주변 경작지에 위치하는데, 이곳은...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철목리에 있는 개항기 이만경의 효자각. 이만경(李晩景)[1691~1776]의 자는 군진(君珍), 호는 두촌(斗村), 본관은 흥양(興陽)이다. 어렸을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아버지가 중풍으로 쓰러져 여러 해를 지나자 병이 더욱 깊어져 옆으로 돌아누울 때도 다른 사람의 부축을 받아야 하고, 말마저 어눌하게 되어 말끝을 맺지 못하게 되었...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철목리에 있는 최흥림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최흥림(崔興林)[1878~1931]은 본관이 전주(全州), 자는 기선(箕善), 호는 도은(島隱)이다. 가세가 어려운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어릴 적부터 천성이 착하고 효심이 지극하였다. 병환 중인 부친이 먹고 싶어하는 것은 어떻게든 구해서 드렸다고 한다. 하루는 고기가 먹고 싶다고 하는데...
-
전라북도 무주군을 상징하는 군화(郡花). 철쭉은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학명은 Rhododendron schilippenbachii Maximowicz이다. 종명에 쓰인 ‘슈리펜바키’는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이 꽃을 처음 발견하여 서방에 소개한 러시아 해군 장교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철쭉’이란 이름은 한자 척촉(躑躅)에서 유래되었으며, 꽃봉오리...
-
전라북도 무주군 덕유산에 수령 약 40~50년의 철쭉과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식물 군락. 상층부의 신갈나무와 중간층의 철쭉이 같은 장소에서 자라고 있는 군락으로 덕유산 일대의 대표적인 식물 군락이다. 백련사에서 향적봉으로 이어지는 일부 지역과 정상에서 칠봉 사이의 중간 지역, 남덕유산의 해발 고도 1,000m 이상에서 극상림으로 보이는 신갈나무 숲이 있는데, 대체적으로 4...
-
조선 후기 무주 지역에 별장을 짓고 시가를 즐겼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회진(會律)]. 자는 재숙(載叔), 호는 청구(淸滾). 아버지는 관찰사를 역임한 임서(林㥠)이다. 임담(林覃)[1596~1652]은 1635년(인조 13)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에 올랐다. 병자호란 때 사헌부 지평으로 남한산성에 들어가 총융사의 종사관이 되어 남격대(南格臺)를 수비하였고, 화의가...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청동기로 도구를 만들고 민무늬 토기를 사용하던 시대. 우리나라의 청동기시대는 민무늬 토기[무문 토기(無文土器)] 문화와 청동기 문화로 대표되는 시대로서 토기와 청동기에 대한 문화적·시대적 비중이 매우 높다. 청동기시대는 조기,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민무늬 토기에 대한 연구 성과가 반영되어 있다. 이와 같은...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청량사(靑凉寺)가 있었고, 마을 앞을 흐르는 남대천이 마음까지 깨끗하게 한다 하여 청량리(靑凉里)라고 하였다. 조선 말까지 신풍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청량 1리[진평]와 청량 2리[무주목[무항], 청량리, 하엽, 비례]를 병합하여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로 개설하였다. 1981년 군 조례 개정으로 남청리,...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설천 초등학교와 설천 중·고등학교가 있는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로부터 국도 제30호선을 따라 서쪽으로 1㎞ 정도 가다 보면 설천들이 펼쳐져 있고, 남쪽으로는 무장골이 자리한다. 최근 무장골에 태권도원이 조성되었는데, 태권도원 중앙에 가설된 십(十)자 도로 교차점의 동편에 2기의 고인돌이 존재...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무주 반디랜드에서 국도 제30호선을 따라 동쪽으로 600m 정도 가면 진평 마을 입구가 나온다. 진평 마을을 가로질러 가면 민가가 나오는데, 민가 끝자락 인근에 청량리 고인돌 떼2가 위치한다. 이곳은 곡간의 비탈면에 해당한다. 청량리 고인돌 떼2에 대한 정식...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무주 반디랜드에서 마을 농로를 따라 서남쪽으로 650m 정도 들어가면 원청량 마을 또는 원청 마을이 나온다. 마을 회관에서 골짜기 쪽으로 100m쯤 더 들어가면 청량리 고인돌 떼3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곳은 상대적으로 좁은 곡간 평지에 해당한다. 청량리 고인...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와 소천리 사이에 소재하는 남대천(南大川) 변 온팽이들 한가운데에 청량리 고인돌 떼4가 조성되어 있다. 동서로 가로지르는 국도 제30호선을 중심으로 바로 남쪽에는 온팽 마을 회관이, 북쪽에는 비닐하우스와 논으로 경작되는 온팽이들이 있는데, 마을 회관에서 북쪽으로 90m...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와 소천리 사이에 소재하는 남대천(南大川) 변 온팽이들 한가운데에 청량리 고인돌 떼4가 조성되어 있다. 동서로 가로지르는 국도 제30호선을 중심으로 바로 남쪽에는 온팽 마을 회관이, 북쪽에는 비닐하우스와 논으로 경작되는 온팽이들이 있는데, 마을 회관에서 북쪽으로 90m...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설천 초등학교와 설천 중·고등학교가 있는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로부터 국도 제30호선을 따라 서쪽으로 1㎞ 정도 가다 보면 설천들이 펼쳐져 있고, 남쪽으로는 무장골이 자리한다. 최근 무장골에 태권도원이 조성되었는데, 태권도원 중앙에 가설된 십(十)자 도로 교차점의 동편에 2기의 고인돌이 존재...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무주 반디랜드에서 국도 제30호선을 따라 동쪽으로 600m 정도 가면 진평 마을 입구가 나온다. 진평 마을을 가로질러 가면 민가가 나오는데, 민가 끝자락 인근에 청량리 고인돌 떼2가 위치한다. 이곳은 곡간의 비탈면에 해당한다. 청량리 고인돌 떼2에 대한 정식...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무주 반디랜드에서 마을 농로를 따라 서남쪽으로 650m 정도 들어가면 원청량 마을 또는 원청 마을이 나온다. 마을 회관에서 골짜기 쪽으로 100m쯤 더 들어가면 청량리 고인돌 떼3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곳은 상대적으로 좁은 곡간 평지에 해당한다. 청량리 고인...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와 소천리 사이에 소재하는 남대천(南大川) 변 온팽이들 한가운데에 청량리 고인돌 떼4가 조성되어 있다. 동서로 가로지르는 국도 제30호선을 중심으로 바로 남쪽에는 온팽 마을 회관이, 북쪽에는 비닐하우스와 논으로 경작되는 온팽이들이 있는데, 마을 회관에서 북쪽으로 90m...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와 소천리 사이에 소재하는 남대천(南大川) 변 온팽이들 한가운데에 청량리 고인돌 떼4가 조성되어 있다. 동서로 가로지르는 국도 제30호선을 중심으로 바로 남쪽에는 온팽 마을 회관이, 북쪽에는 비닐하우스와 논으로 경작되는 온팽이들이 있는데, 마을 회관에서 북쪽으로 90m...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조선 시대 유물산포지.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는 9개소의 유물산포지가 남대천(南大川) 주변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남대천은 설천면을 지나 금강(錦江) 상류로 합류되는 금강 수계권에 속한다. 청량리 유물산포지(淸凉里遺物散布地)는 무주 반디랜드에서 무주군 설천면 소재지로 가는 국도 제30호선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설천 초등학교와 설천 중·고등학교가 있는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로부터 국도 제30호선을 따라 서쪽으로 1㎞ 정도 가다 보면 설천들이 펼쳐져 있고, 남쪽으로는 무장골이 자리한다. 최근 무장골에 태권도원이 조성되었는데, 태권도원 중앙에 가설된 십(十)자 도로 교차점의 동편에 2기의 고인돌이 존재...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무주 반디랜드에서 국도 제30호선을 따라 동쪽으로 600m 정도 가면 진평 마을 입구가 나온다. 진평 마을을 가로질러 가면 민가가 나오는데, 민가 끝자락 인근에 청량리 고인돌 떼2가 위치한다. 이곳은 곡간의 비탈면에 해당한다. 청량리 고인돌 떼2에 대한 정식...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무주 반디랜드에서 마을 농로를 따라 서남쪽으로 650m 정도 들어가면 원청량 마을 또는 원청 마을이 나온다. 마을 회관에서 골짜기 쪽으로 100m쯤 더 들어가면 청량리 고인돌 떼3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곳은 상대적으로 좁은 곡간 평지에 해당한다. 청량리 고인...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와 소천리 사이에 소재하는 남대천(南大川) 변 온팽이들 한가운데에 청량리 고인돌 떼4가 조성되어 있다. 동서로 가로지르는 국도 제30호선을 중심으로 바로 남쪽에는 온팽 마을 회관이, 북쪽에는 비닐하우스와 논으로 경작되는 온팽이들이 있는데, 마을 회관에서 북쪽으로 90m...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와 소천리 사이에 소재하는 남대천(南大川) 변 온팽이들 한가운데에 청량리 고인돌 떼4가 조성되어 있다. 동서로 가로지르는 국도 제30호선을 중심으로 바로 남쪽에는 온팽 마을 회관이, 북쪽에는 비닐하우스와 논으로 경작되는 온팽이들이 있는데, 마을 회관에서 북쪽으로 90m...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절터. 청량사(淸凉寺)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록이 전하지 않아 정확한 운영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여지도서(輿地圖書)』와 『무주부 읍지(茂朱府邑誌)』, 『적성지(赤城誌)』 등의 기록에는 18세기~19세기경에 운영된 것으로 전한다.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진평 마을에서 남쪽의 백운산(白雲山)...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절터. 청량사(淸凉寺)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록이 전하지 않아 정확한 운영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여지도서(輿地圖書)』와 『무주부 읍지(茂朱府邑誌)』, 『적성지(赤城誌)』 등의 기록에는 18세기~19세기경에 운영된 것으로 전한다.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진평 마을에서 남쪽의 백운산(白雲山)...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장기리에 있는 청소년 수련 시설. 안성청소년문화의집은 무주 지역 청소년들을 위한 문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무주군에서 건립하였다. 건축가 정기용(鄭寄鎔)이 공공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해를 좇는 새'를 주제로 디자인하여 2004년 10월 1일 개관하였다. 2014년부터 매년 무주 교육 지원청에서 지원하는 ‘무주 안성 방과후 마을 학교 공모...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소년 야영 시설. 무주 지역에 체험 학습 관광이 가능한 공간을 마련하여 전국의 가족 단위 관광객과 학교 견학단, 수학 여행단 등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한편, 인근에 위치한 무주 청소년 수련관과 연계하여 청소년들의 야영 활동과 체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2001~2006년 약 1억 8000만 원의 사업비를 들...
-
근대 무주 출신의 의병장. 김동신(金東臣)[1871~1933]의 자는 원표(元表), 호는 청암(淸庵)이다. 지금의 대전광역시에서 출생하였다. 고종(高宗) 때 무과에 급제한 후 통정대부(通政大夫) 비서승(祕書丞)을 지냈다. 1905년(고종 42) 을사늑약(乙巳勒約)이 체결되자 문태서(文泰瑞), 신명선(申明善), 박춘실(朴春實) 등과 함께 구국 항쟁의 대열에 나서기로 하고...
-
조선 후기 무주 죽림사에 제향된 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청원(淸源), 호는 죽헌(竹軒).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최영보(崔永甫)이다. 최활(崔活)[?~?]은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부모의 상(喪)을 당하여 여묘살이를 하였다. 성품이 청렴하고 검소하였다. 평생 정주학(程朱學)을 연마하는 데 전념하였는데, 특히 『소학(小學)』의 실천을 역설하면서 많은 후학을 양성하...
-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심신을 단련하고 여가 및 운동 능력을 기르기 위해 실시하는 제반 활동. 1945년 8·15 광복 후 연식 정구가 활성화되어 무주군의 체육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무주군의 연식 정구는 무주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구기 종목으로 성장하여 전라북도 교육청으로부터 육성 종목으로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6·25 전쟁 이후부터는 구기 종목이 성행하였다. 197...
-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체육공원. 무주군에는 체육공원이 6개 읍·면에 각 1개소가 조성되어 있으며, 무주 공설 운동장[무주 등나무 운동장]이 대표적인 체육공원이다. 1. 체육공원 체육공원은 무주읍, 설천면, 부남면, 적상면, 무풍면, 안성면 등에 각 1개소가 조성되어 있다. 부남면 체육공원은 전체 면적이 1만 1141㎡이다. 축구장 7,738㎡, 테니스장 3,...
-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초등 보통 교육 기관. 초등학교는 일반 교육·기초 교육·보통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 기관이며, 취학 연령은 만 6세이고 교육 기간은 6년이다. 1948년 「헌법」 제16조에서 "모든 국민은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여, 1950년 6월부터 초등 교육을 의무 교육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전라북도 무주군의 초등학교 교육을 살펴보기...
-
조선 후기 무주 지역에 낙향한 문신이자 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태지(泰之), 호는 초려(草廬). 아버지는 유학(幼學) 이서(李曙)이고, 어머니는 청풍 김씨(淸風金氏)이다. 이유태(李惟泰)[1607~1684]는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다섯 아들 가운데 셋째로 태어났다. 금산은 본래 전라도 지역에 속하였으나 1963년 충청남도에 편입되었다. 김집(金集)의 천거로 1...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장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터. 초려(草廬) 이유태(李惟泰)는 처음에는 지금의 상산(上山)인 산미촌(山味村)에서 살았는데, 이 터에 서재(書齋)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서 ‘초려정(草廬亭)’이라 하였다. 초려정에서 매일 학자들과 학문을 연구하며 수련하였다고 한다. 이유태는 스승 김집(金集)의 천거로 1634년(인조 12)에...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장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터. 초려(草廬) 이유태(李惟泰)는 처음에는 지금의 상산(上山)인 산미촌(山味村)에서 살았는데, 이 터에 서재(書齋)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서 ‘초려정(草廬亭)’이라 하였다. 초려정에서 매일 학자들과 학문을 연구하며 수련하였다고 한다. 이유태는 스승 김집(金集)의 천거로 1634년(인조 12)에...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에 있는 농촌 체험 마을. ‘초리(初里)’라는 지명은 상곡(裳谷) 골짜기에 가장 먼저 생긴 마을이라 해서 붙여진 지명이라는 설과 옛적 무주읍에서 상곡면으로 들어가는 길목의 첫 동네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또 적상산(赤裳山)을 마주 보고 있는 마을로 ‘칡’을 주제로 한 상품을 만들어서 팔고 있어 넝쿨마을이라 불리기도 한다....
-
일제 강점기 무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낙철(崔洛哲)[1921~2005]은 1921년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은산리에서 출생하였다. 무풍 공립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대구 사범 학교 심상과에 재학 중이던 1941년 1월 뜻을 같이하는 동지들과 모여 민족의 장래에 대해 협의하고 조선 독립을 위한 실력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결사체인 ‘연구회(硏究會)’를 조직하였다. 이들은 학술...
-
조선 후기 무주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서(聖瑞), 호는 채포(蔡圃). 죽헌(竹軒) 최활(崔活)의 6세손이다. 최봉래(崔鳳來)는 어려서부터 몸집이 좋은 거인(巨人)이었다. “살아서 세상에 유익함이 없고, 죽어서 후세에 남김이 없으면 누가 대장부라 하랴.” 하면서 경사(經史)를 두루 탐구하고 무예를 열심히 닦았다. 1728년(영조 4)...
-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화가. 가계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이가환(李家煥)[1742~1801]은 본관을 경주라고 하였다. 한편, 조병유(趙秉瑜)의 『적성지』, 장지연(張志淵)[1864~1921]의 『진휘속고(震彙續考)』·『일사유사(逸士遺事)』, 오세창(吳世昌)[1864~1953]의 『근역서화징』 등에는 무주 최씨로 나온다. 그런데 무주 최씨는 주계 최씨로도 불렸으며, 주...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당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화가 최북의 미술관. 조선 후기 화가로 이름을 날린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1712~1786?]은 정확하게 전하는 생몰년의 기록이 없으나, 숙종 때 태어나 영조 때까지 그림을 그리다가 생을 마친 무주 출신 화가이자 여항 시인(閭巷詩人)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최북미술관(崔北美術館)은 중국 산수의 형세를 그린...
-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화가. 가계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이가환(李家煥)[1742~1801]은 본관을 경주라고 하였다. 한편, 조병유(趙秉瑜)의 『적성지』, 장지연(張志淵)[1864~1921]의 『진휘속고(震彙續考)』·『일사유사(逸士遺事)』, 오세창(吳世昌)[1864~1953]의 『근역서화징』 등에는 무주 최씨로 나온다. 그런데 무주 최씨는 주계 최씨로도 불렸으며, 주...
-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아명은 승대(承垈), 호는 송포(松圃). 아버지는 효행과 학문으로 이름이 높고, 무주 죽림사(竹林祠)에 위패가 봉안된 최활(崔活)이다. 최익붕(崔翼鵬)[1810~1872]은 1810년(순조 10)에 태어났다. 풍채도 좋고 재주도 뛰어난 인물이었으며, 무엇보다도 효심이 깊었다. 최익붕은 아버지가 병환으로 누워 있자, 병세...
-
개항기 무주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최충길(崔忠吉)[1891~?]은 1907년(순종 1) 말 동지를 규합하여 호남 의병단에 들어가 무주 지역에서 의병 활동을 하였다. 호남 의병단은 문태서(文泰瑞)가 중심이 되었는데, 문태서가 덕유산(德裕山)의 원통사(圓通寺) 부근에서 산포수 10여 명을 모으고, 장수군에서 활동하던 박춘실(朴春實) 의병대, 박수문 의병대, 전성보 의병대와...
-
조선 후기 무주 죽림사에 제향된 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청원(淸源), 호는 죽헌(竹軒).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최영보(崔永甫)이다. 최활(崔活)[?~?]은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부모의 상(喪)을 당하여 여묘살이를 하였다. 성품이 청렴하고 검소하였다. 평생 정주학(程朱學)을 연마하는 데 전념하였는데, 특히 『소학(小學)』의 실천을 역설하면서 많은 후학을 양성하...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음력 8월 15일에 거행하는 풍속. 추석(秋夕)은 음력 15일로 설과 함께 대표 명절의 하나이다. 추석은 ‘한가위’라고도 하는데, 지역에 따라서는 ‘가윗날’, ‘가위’, ‘가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추석을 “더도 덜도 말고 이날만 같아라.”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풍성한 시기에 쇠는 명절인 만큼 추수 감사제적인 성격이 짙...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와 설천면 미천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개에 싸리나무가 많은 데서 싸리재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축현, 축령이라고도 부른다. 싸리재[570m]는 동쪽으로 박석산[1,150m]과 서쪽으로는 700m 산지의 중간 부분이다. 북쪽의 미대천(美大川)과 남쪽의 금평천(金坪川)의 분수계를 이룬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59', 동경 127...
-
전라북도 무주군의 산업 분야 중 가축을 사육하고 그 생산물을 가공하는 산업. 축산업은 가축을 길러 고기나 가죽, 유제품 등을 얻는 산업이다. 전라북도 무주군은 1960년대 후반부터 농어민 소득 증대 사업의 일환으로 축산업 진흥을 추진해왔지만 수요가 따르지 못해 생산력이 크게 증대되지는 못하였다. 1980년대 들어 증식 기반의 구축과 함께 축산 사육 두수가 증가했다가, 1...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와 설천면 미천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개에 싸리나무가 많은 데서 싸리재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축현, 축령이라고도 부른다. 싸리재[570m]는 동쪽으로 박석산[1,150m]과 서쪽으로는 700m 산지의 중간 부분이다. 북쪽의 미대천(美大川)과 남쪽의 금평천(金坪川)의 분수계를 이룬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59', 동경 127...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관련한 고문서가 전해 내려오는 조선 후기 무신. 이유길(李有吉)[?~1619]은 전라남도 해남 사람이었지만 뒤에 경기도 파주로 이사하였으며, 그가 전사한 뒤 가족이 파주에서 초혼장(招魂葬)으로 장례를 치렀다. 이유길의 종손이 무주군 일안면, 곧 현재의 안성면(安城面)에 살았기 때문에 무주와 인연을 갖게 되었다. 1989년 1월 연안 이씨...
-
조선 후기 무주 지역에 별장을 짓고 시가를 즐겼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회진(會律)]. 자는 재숙(載叔), 호는 청구(淸滾). 아버지는 관찰사를 역임한 임서(林㥠)이다. 임담(林覃)[1596~1652]은 1635년(인조 13)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에 올랐다. 병자호란 때 사헌부 지평으로 남한산성에 들어가 총융사의 종사관이 되어 남격대(南格臺)를 수비하였고, 화의가...
-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처사.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명서(明瑞), 호는 취은(醉隱). 조선 전기 영의정을 지낸 문효공(文孝公) 하연(河演)의 10세손이다. 아버지 사양재(四養齋) 하위국(河衛國)이 임진왜란 때 무주 백운산(白雲山)으로 들어와 난을 피한 후 무풍면 현내리에 정착하였다.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金氏) 김일(金鎰)의 딸이다. 형제로 하징도(河徵道), 하정도(河呈道...
-
조선 전기 무주 지역으로 이거한 유학자.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계광(啓光), 호는 취정(翠亭). 달성군(達城君) 서영(徐潁)의 9세손이며, 삼남 균전제처사(三南均田制處使) 귀계(龜溪) 서침(徐沈)의 7세손이다. 대구에서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으로 이주하였으며, 그 후손들이 대대로 세거하였다. 서효재(徐孝載)는 성품이 순하고 말이 적으며, 효심이 극진하고, 문장과 덕행...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있는 농촌 체험 마을. 치목삼베마을은 적상산 동남쪽 적상산성(赤裳山城)으로 가는 양지 바른 길목에 자리하고 있는데, 마을 남쪽으로 우뚝 솟은 단지봉과 주변의 울창한 수림이 풍치를 이룬다 하여 ‘치목(致木)’이라 하였다고 한다. 마을에 삼베와 이를 이용한 생활 소품, 수의(壽衣)가 유명해 삼베 마을로 알려져 있다. 치목...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산리와 괴목리를 연결하는 고개.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의 치목 마을에 위치한다고 해서 ‘치목재’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치목재[540m]는 북쪽으로 적상산(赤裳山)[1,034m], 남쪽으로는 단지봉[769m]과 두문산(斗文山)[1,051m]을 연결하는 산줄기의 중간 부분이다. 남북으로 산줄기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동쪽의 무주...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에 있는 농업인 단체. 반딧골친환경연합회는 친환경 농업을 선호하는 전라북도 무주군의 농업인들이 친환경 농업 관련 재배 기술과 농법을 상호 공유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반딧골친환경연합회는 2001년 11월 6일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는 농업인 250여 명이 모여 무주 전통 문화의 집에서 창립하였다. 친환경 및 유기 농업에 대한...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당산리와 읍내리를 연결하며 남대천 위를 지나며 다리. 칠리대교(七里臺橋)는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에 위치한 상리 마을 동쪽 남대천(南大川) 주변에 있는 바위 이름인 칠리대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길이는 675m이며 총 폭은 17.5m이다. 유효 폭은 16.6m이며 높이는 18.8m, 경간 수는 15개이다. 칠리대교는...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와 심곡리 경계에 있는 산. 암석 봉우리가 7개 있어 칠봉(七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칠봉[1,161m]은 남쪽의 덕유산 향로봉(香爐峰) 기점으로 북쪽으로 뻗은 산줄기 상에 위치한다. 남쪽은 향로봉으로 연결되고, 북쪽에는 원당천(元塘川)이 흐른다. 동쪽은 무주 구천동이며, 서쪽은 무주 리조트 지역이다. 칠봉과 산줄기는 무주...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에 있는 계곡. 덕유산 자락에 적송이 유달리 발달된 계곡이 있어 칠연계곡(七淵溪谷)이라 부르며 ‘칠연계곡’이라는 이름은 7개의 폭포가 연달아 있는 칠연 폭포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칠연 폭포의 명칭 유래는 7년이란 인고의 세월 후에 신선 바위에서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오르는 도사의 꿈이 서린 곳이다. 칠연계곡에 있는 칠연 폭포에는 옛날...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에 있는 구한말 전사한 신명선 의병 부대의 유해를 합장한 무덤. 칠연의총(七淵義塚)은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통안 마을 은반대에서 0.1㎞ 지점 계곡 왼편에 있다. 1907년 일본의 강압으로 정미 7조약이 체결되어 군대 해산 명령이 내려지자 조직된 의병 신명선 부대가 일본군의 기습으로 150여 명의 의병들이 전사한 후, 의병 문봉호(...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에 있는 폭포. 옛날 한 도사가 신선이 되기를 원하여 하느님께 기도하니 꿈속에 신령이 나타나 안성 땅의 바위 속[봉산 마을 책암]에 있는 책을 꺼내어 공부하면 신선이 될 수 있다고 하자 도사는 안성에 찾아와 바위 밑에 책을 꺼내 7년 동안 열심히 공부하였다고 한다. 수련을 끝내고 길을 가던 중 배가 고파지자 현재의 용추 폭포가 있던 자리에 커...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에 있는 계곡. 덕유산 자락에 적송이 유달리 발달된 계곡이 있어 칠연계곡(七淵溪谷)이라 부르며 ‘칠연계곡’이라는 이름은 7개의 폭포가 연달아 있는 칠연 폭포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칠연 폭포의 명칭 유래는 7년이란 인고의 세월 후에 신선 바위에서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오르는 도사의 꿈이 서린 곳이다. 칠연계곡에 있는 칠연 폭포에는 옛날...
-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화가. 가계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이가환(李家煥)[1742~1801]은 본관을 경주라고 하였다. 한편, 조병유(趙秉瑜)의 『적성지』, 장지연(張志淵)[1864~1921]의 『진휘속고(震彙續考)』·『일사유사(逸士遺事)』, 오세창(吳世昌)[1864~1953]의 『근역서화징』 등에는 무주 최씨로 나온다. 그런데 무주 최씨는 주계 최씨로도 불렸으며,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