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당리(柯堂里)는 가정자(柯亭子)의 ‘가’ 자와 평당(平堂)의 ‘당’ 자에서 따와 만든 지명이라고 한다. 가당리는 조선 시대까지 금산군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가정자와 평당을 묶고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로 개설하였다. 그 후 가당 1리와 가당 2리, 가당 3리 등 3개 행정리로 나뉘었다가 1...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 가정 마을에서 농기를 세우면서 지내던 마을 제사.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 가정 마을에서 농기를 세우면서 제의를 행하는 것을 농기 올리기라고 한다. 다른 지역에서는 마을의 농악대가 농기를 앞세우고 정해 놓은 장소에 모여 각 마을의 농악대를 만든 시기 순서에 따라 새해 인사를 나누는 ‘기세배’ 또는 ‘농기맞이’ 등을 한다. 가정 마을...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를 관통하는 국도 제37호선의 서쪽 편에 부당 초등학교가 있다. 가당리 고인돌은 부당 초등학교의 북서쪽 50m 지점에 위치하는데, 야산의 남동쪽 비탈에 해당한다. 이곳은 동쪽을 향하여 배산임수를 이루는 장소로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가당리 고인돌에 대한...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길문기의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길문기(吉文基)에 대해서는 비문이 훼손되어 있고 기록이 없어서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마을 사람들을 위하여 많은 덕을 베풀어 가당리 길문기 선덕비(柯堂里吉文基善德碑)를 세운 것으로 보인다. 무주군 부남면 가정 삼거리에서 부남로 부남 방면으로 좌회전한 후...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에 있는 김인석의 무덤. 가당리 김인석 묘역(柯堂里金仁碩墓域)은 무주와 금산을 잇는 국도 37호선 도계 부근에 자리한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 가정 마을 가정 보건 진료소 동쪽 언덕의 하단부에 있다. 장방형 형태로 근래에 새롭게 조성되었는데 화강석 면석을 사면으로 둘렀으며 맨 위는 잔디를 식재하였다. 묘 뒤편은 선조들의 묘역이 조성되어...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에 있는 삼국 시대 봉수. 가당리 수로봉 봉수(柯堂里水路峰烽燧)는 지삼치 산성(芝三峙山城)과 함께 지삼치, 노고재 등의 고갯길을 감시,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삼국 시대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금남 정맥 성치 지맥상에 위치한 수로봉(水路峰)[505.7m]은 전라북도 무주군과 충청남도 금산군의 경계를 이루며, 동쪽과...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에 있는 삼국~고려 시대 유물산포지. 가당리 유물산포지(柯堂里遺物散布地)는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의 행정 경계를 이루고 있으면서 국도 제37호선과 대전 통영 간 고속 도로가 통과하는 지삼치 남쪽 기슭 하단부에 위치한다. 모두 2개소의 유물 산포지로 나뉘는데, 가당리 유물산포지1은 지삼 소류지 남쪽 비교적 넓은 구릉지에 자리하며, 가당리...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를 관통하는 국도 제37호선의 서쪽 편에 부당 초등학교가 있다. 가당리 고인돌은 부당 초등학교의 북서쪽 50m 지점에 위치하는데, 야산의 남동쪽 비탈에 해당한다. 이곳은 동쪽을 향하여 배산임수를 이루는 장소로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가당리 고인돌에 대한...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와 굴암리를 흐르는 하천. 가당천(柯堂川)이라는 이름은 하천이 흐르는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에서 비롯되었다. 가당리는 본래 충청남도 금산군 부남면에 속한 지역인데, 1895년(고종 32) 무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가정리, 상평당리, 하평당리를 병합하여 가정과 평당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가당천’...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삼가리와 방이리 경계에 있는 산. 구리골산은 무주군 적상면 사산리 갈골 마을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하며, 단양산, 구래골산, 가리골산이라고도 부른다. 구리골산[658m]은 북쪽으로 마향산(馬香山)[730m], 남쪽으로 봉화산(烽火山)[885m]으로 연결되는 산줄기의 중간 지점으로, 무주군 적상면 내에서 방이리 계곡과 적...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에 있는 고개. 고갯길의 모양이 솥단지 모양의 좁은 길이라는 의미에서 부항령(釜項嶺)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전한다. 부항령[680m]은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와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어전리를 연결하는 고갯길로, 북쪽의 백수리산[1,034m]과 남쪽의 대덕산(大德山)[1,290m]을 연결하는 백두 대간 산줄기의 중간 지점이다. 남...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덕유산 향적봉 정상부에 자라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 교목. 가문비나무는 소나무과 솔송나무속에 속하며 학명은 Picea jezoensis(Sieb. et Zucc.) Carriere이다. 함경도, 평안도, 강원도 등 주로 북쪽 고산 지대에 군락을 이루어 자생하고, 남부에서는 지리산[반야봉·천왕봉·중봉 능선부], 설악산, 덕유산 등지에서 자...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가옥리 가옥 교차로에 있는 고가 도로. 가옥 삼거교(佳玉三巨橋)는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가옥리 삼거리 마을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장수군과 충청남도 금산군으로 갈리는 세 갈래 길목이 되어 삼거리로 불리었고, 이를 따라 가옥 삼거교라 이름을 붙였다. 길이는 40m이며 총 폭은 23m이다. 유효 폭은 22.2m이며 높이...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가옥리 시루봉 능선에 있는 터널. 대전광역시 이남 지역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개설된 고속 도로 제35호선 통영 대전 고속 도로의 무주 나들목~함양 구간에서 소백산맥 일대의 안정적 통행을 위해 2001년 11월 29일에 가옥터널을 개통하였다. 상하행 터널 모두 편도 2차선이며 총 폭 11m, 유효 폭 10.3m, 높이 6.7m의 마제형 터...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에 속하는 법정리. 가림(佳林)[가랑개골] 마을, 가옥(加玉)[더옥골] 마을, 주동(珠洞)[사직골] 마을을 합하면서 가림 마을의 ‘가’ 자와 가옥 마을의 ‘옥’ 자를 따서 가옥리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서면 지역[가옥리·용포리]의 가림 마을, 가옥 마을, 주동 마을을 병합하고 무주면 가옥리로 개설하였다. 1961년 평촌...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에 속하는 법정리. 가림(佳林)[가랑개골] 마을, 가옥(加玉)[더옥골] 마을, 주동(珠洞)[사직골] 마을을 합하면서 가림 마을의 ‘가’ 자와 가옥 마을의 ‘옥’ 자를 따서 가옥리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서면 지역[가옥리·용포리]의 가림 마을, 가옥 마을, 주동 마을을 병합하고 무주면 가옥리로 개설하였다. 1961년 평촌...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가옥리에 있는 삼국 시대·고려 시대 유물산포지.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에서 국도 제19호선을 따라 장수군·진안군 방향으로 가다 보면 가옥 교차로가 나온다. 가옥 교차로에서 금산군 방향의 무금로를 따라 약 500m 정도 진행하다가 좌측의 주동길로 진입하여 약 800m 정도 이동하면 주동 마을에 도착한다. 가옥리 유물산포지(佳玉里遺物散布地)...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가옥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주원씨의 정려. 절부 전주원씨는 효자 박이항(朴以恒)의 처로 성품이 정결하고 사리가 분명하였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편이 가족들을 데리고 장수 백운산으로 피신하면서 “만약 우리가 한 곳에 가서 있다가 변을 당하면 한꺼번에 변을 당할 우려가 있으니, 각기 다른 곳으로 피하자”라고 하여, 각지...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음력 8월 15일에 거행하는 풍속. 추석(秋夕)은 음력 15일로 설과 함께 대표 명절의 하나이다. 추석은 ‘한가위’라고도 하는데, 지역에 따라서는 ‘가윗날’, ‘가위’, ‘가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추석을 “더도 덜도 말고 이날만 같아라.”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풍성한 시기에 쇠는 명절인 만큼 추수 감사제적인 성격이 짙...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음력 8월 15일에 거행하는 풍속. 추석(秋夕)은 음력 15일로 설과 함께 대표 명절의 하나이다. 추석은 ‘한가위’라고도 하는데, 지역에 따라서는 ‘가윗날’, ‘가위’, ‘가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추석을 “더도 덜도 말고 이날만 같아라.”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풍성한 시기에 쇠는 명절인 만큼 추수 감사제적인 성격이 짙...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음력 8월 15일에 거행하는 풍속. 추석(秋夕)은 음력 15일로 설과 함께 대표 명절의 하나이다. 추석은 ‘한가위’라고도 하는데, 지역에 따라서는 ‘가윗날’, ‘가위’, ‘가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추석을 “더도 덜도 말고 이날만 같아라.”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풍성한 시기에 쇠는 명절인 만큼 추수 감사제적인 성격이 짙...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사당.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는 조선 세조(世祖) 때 순절(殉節)한 문신으로 초명은 효기(孝起), 자(字)는 여공(汝恭)이다. 1426년(세조 8)에 생원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사간(司諫), 경상도 아사(慶尙道亞使), 함길도 절제사(咸吉道節制使),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역임하...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가정의 여러 신을 믿는 의례 행위. 가정신앙은 가정의 여러 신에게 정기적으로 의례를 올리거나 치성을 드리거나 섬기는 한국 고유의 신앙 행위이다. 주로 주부가 집안의 신에게 제사나 고사, 굿 등을 통하여 집안의 평안과 가족의 운수를 기원한다. 가신에 대한 제례는 대체로 농업 주기에 맞추어져 있다. 특히 새해가 시작되는 정월과 10월에 집중적으로 모셔...
-
일제 강점기 무주 출신의 애국지사이자 교육자. 이시발(李時發)[1865~1934]의 본관은 흥양(興陽), 호는 간설(艮雪)이다.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에서 태어났다. 1896년(고종 3) 2월 백범(白凡) 김구(金九)가 무주에 들렀을 때 항일 의사(抗日義士) 유완무(柳完茂)와 함께 위험을 감수하고 김구를 보호하였다. 당시는 김구가 일본군 장교를 살해한 죄로 사형...
-
전라북도 무주군에 서식하는 잉어과의 민물고기. 몸은 원통형으로 길며 몸길이는 약 10㎝이다. 입은 작고 주둥이 끝에 위치하며 아래쪽을 향해 열린다. 입술은 말굽 형태를 띠지만 유사종인 돌고기와 달리 입술 가장자리가 두껍지 않다. 수염은 눈의 지름보다 작으며, 옆줄은 몸의 앞쪽에서 아래쪽으로 약간 굽어 있다. 몸의 옆면에는 중앙부에 흑갈색 줄무늬가 선명하다. 등지느러미,...
-
1894년 전라북도 무주 지역을 포함한 전국에서 동학 교도와 농민이 일으킨 반봉건, 반외세를 지향한 운동. 1860년 최제우(崔濟愚)가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인내천(人乃川) 사상을 주장하며 동학을 창시하여 전라도를 비롯한 삼남 일대의 농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876년 일본과 불평등한 근대 조약,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여 강제로 개항한 이후 일본을 비롯한 외세의 경제적 침투가...
-
1894년 전라북도 무주 지역을 포함한 전국에서 동학 교도와 농민이 일으킨 반봉건, 반외세를 지향한 운동. 1860년 최제우(崔濟愚)가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인내천(人乃川) 사상을 주장하며 동학을 창시하여 전라도를 비롯한 삼남 일대의 농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876년 일본과 불평등한 근대 조약,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여 강제로 개항한 이후 일본을 비롯한 외세의 경제적 침투가...
-
전라북도 무주군 내에서 일정한 유로를 가지고 지표를 흐르는 물줄기. 무주 지역의 하천은 모두 금강(錦江) 수계에 속한다. 금강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의 신무산(神舞山)에서 발원하여 전라북도,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를 관류하고 군산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강이다. 무주군 내 하천은 대부분 북쪽~북서쪽 방향의 지질 구조선을 따라 흐르는 경향을 보이며 남대천(南大川)과...
-
전라북도 무주군 출신의 국악인. 강낙승(姜洛昇)[1916~2010]은 1916년에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유평 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풍류에 관심을 갖고 동네 농악 굿이 열릴 때마다 장단을 맞추기도 하였다. 1938년 경찰 공무원에 합격하여, 근무하는 동안에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의 예기 조합(藝妓組合) 권번(券番)에서 장동호로부터 평시조(平...
-
근대 무주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晋州). 호는 대악(大岳)이다.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으로 정종 때 상의 문하찬성사(商議門下贊成事)를 지낸 공목공(恭穆公) 강시(姜蓍)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강방수(姜芳秀)이다. 강남대(姜南大)[1887~1950]는 진산군 부남면[현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유평(柳坪)에서 출생하였다. 농가에서 태어난 강남대는 어려서 한학을 배워 예...
-
개항기 무주 출신의 의병. 본관은 진주(晉州). 본명은 강윤수(姜尹秀)이며, 강무경(姜武京)으로도 쓴다. 강무경(姜武景)[1878~1910]은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에서 출생하였다. 원래 필묵(筆墨)을 주로 취급하던 상인이었지만 일제의 침략으로 기울어져 가는 나라의 처지를 통탄하고 또 걱정하던 의로운 사람이기도 하였다. 그러던 와중 전라남도 함평 지역에서 활동하던...
-
개항기 무주 출신의 의병. 본관은 진주(晉州). 본명은 강윤수(姜尹秀)이며, 강무경(姜武京)으로도 쓴다. 강무경(姜武景)[1878~1910]은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에서 출생하였다. 원래 필묵(筆墨)을 주로 취급하던 상인이었지만 일제의 침략으로 기울어져 가는 나라의 처지를 통탄하고 또 걱정하던 의로운 사람이기도 하였다. 그러던 와중 전라남도 함평 지역에서 활동하던...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에 있던 조선 후기 정자 터. 강수정(講樹亭)은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수락(水落) 마을 입구 쪽에 있었다. 마을의 입구 도로 왼쪽에 자리하고 있었지만 지금은 자취가 남아 있지 않다. 조선 말 강지형(姜芝馨)이 학문을 연구하기 위해 지어 강학소(講學所)로 사용하였다. 활을 쏘는 ‘사정(射亭)’이라고도 하였으며, 이후 ‘강수정...
-
개항기 무주 출신의 의병. 본관은 진주(晉州). 본명은 강윤수(姜尹秀)이며, 강무경(姜武京)으로도 쓴다. 강무경(姜武景)[1878~1910]은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에서 출생하였다. 원래 필묵(筆墨)을 주로 취급하던 상인이었지만 일제의 침략으로 기울어져 가는 나라의 처지를 통탄하고 또 걱정하던 의로운 사람이기도 하였다. 그러던 와중 전라남도 함평 지역에서 활동하던...
-
개항기 무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유학자.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덕찬(德燦), 호는 우당(愚堂). 통계(通溪) 강회중(姜淮仲)의 후손이다. 강지형(姜芝馨)은 단성(丹城)[경상남도 산청군] 출신으로, 덕유산(德裕山)으로 거처를 옮긴 뒤 지금의 무주군 안성면에 머물면서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을 사사하고 학문을 연마하였다. 동학(東學)이 일어나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이고...
-
전라북도 무주군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강봉선(姜奉先)이다. 아들은 강호완(姜浩完), 강호열(姜浩烈)이다. 강판종(姜判鍾)[1912~1969]은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에서 출생하였다. 1940년 대동 상업 학교를 졸업하고, 1958년 원광 대학교 법정학부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1955년 중앙 교원 자격 검정 위원회 시행 고등학교 준교사...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무풍면, 무주읍에 서식하는 반딧불이과의 곤충. 반딧불이는 절지동물문(節肢動物門)[Arthropoda], 곤충강(昆蟲綱)[Insecta], 딱정벌레목[Coleoptera], 반딧불이과[Lampyridae]로 분류된다. 지구상에는 약 5,000만~7,000만 년 전인 신생대부터 존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세계적으로 약 2,100종이 남극과...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무풍면, 무주읍에 서식하는 반딧불이과의 곤충. 반딧불이는 절지동물문(節肢動物門)[Arthropoda], 곤충강(昆蟲綱)[Insecta], 딱정벌레목[Coleoptera], 반딧불이과[Lampyridae]로 분류된다. 지구상에는 약 5,000만~7,000만 년 전인 신생대부터 존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세계적으로 약 2,100종이 남극과...
-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활동하는 기독교의 한 분파. 개신교라 함은 1세기 초에 팔레스타인 북부 갈릴리 지역에서 활동하던 예수의 가르침을 믿는 사람들의 종교이다. 본래는 기독교라는 하나의 교명으로 통용되었다. 기독교라는 명칭은 ‘크리스티아누스’라는 헬라어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의미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이다[『기독교 사전』, 한영제 편]. 개신교는 16세기 초 유럽에서...
-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화가. 가계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이가환(李家煥)[1742~1801]은 본관을 경주라고 하였다. 한편, 조병유(趙秉瑜)의 『적성지』, 장지연(張志淵)[1864~1921]의 『진휘속고(震彙續考)』·『일사유사(逸士遺事)』, 오세창(吳世昌)[1864~1953]의 『근역서화징』 등에는 무주 최씨로 나온다. 그런데 무주 최씨는 주계 최씨로도 불렸으며, 주...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설천면·무주읍·부남면을 거쳐 경상남도 거창군과 경기도 파주시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시작해 전라북도 북동부 산간 지역[무주], 충청남도·충청북도[금산·옥천·보은·청원·괴산·음성] 내륙 산간 지역을 거쳐 서울특별시 외곽의 경기도 남부·동부·북부 지역[여주·양평·가평·포천·연천]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 파주시 문산읍까지...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두길리와 심곡리에 걸쳐 있는 산. 거칠봉(居七峯)은 일곱 명의 신선이 거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거칠봉[1,178m]은 전라북도과 경상남도의 경계를 이루는 삼봉산[1,254m]에서 서쪽의 선인봉[1,150m]으로 연결된 산줄기로, 무주군 설천면의 한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다. 수계는 동북쪽으로 벌한천, 서쪽으로는 원당천으로 흐른다...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와 안성면 덕산리를 연결하는 고개. 지형이 풍수지리상 보검장갑(寶劍藏匣) 형이라 하여 ‘검령(劍嶺)’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껌령이라고도 부른다. 검령[970m]은 무주군 설천면 방향에서는 완경사를 이루지만 안성면 방면에서는 급경사를 이룬다. 북서쪽의 두문산(斗文山)[1,051m]과 남동쪽의 향적봉(香積峰)[1,614m]의 중간 지점...
-
경계와 융합의 상징 지역으로서 전라북도 무주군이 가지는 지리적 위치의 특성. 전라북도 무주군은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가 접경을 이루는 경계 지역이면서, 3도의 사람과 문화가 교류하고 융합하는 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1. 전라북도의 경계 지역 무주 무주군은 전라북도 14개 시·군 중의 하나이며, 전라북도 최동북부 끝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
경계와 융합의 상징 지역으로서 전라북도 무주군이 가지는 지리적 위치의 특성. 전라북도 무주군은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가 접경을 이루는 경계 지역이면서, 3도의 사람과 문화가 교류하고 융합하는 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1. 전라북도의 경계 지역 무주 무주군은 전라북도 14개 시·군 중의 하나이며, 전라북도 최동북부 끝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은산리에 있던 조선 후기 학자 박문건을 모신 재각. 박문건(朴文健)은 영조(英祖)~순조(純祖) 대의 학자로, 호는 정관재(靜觀齋)이다. 진주 태생으로 1805년에 한치 마을로 옮겨와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1968년 후손들이 『정관재 문집(靜觀齋文集)』을 간행하였다. 경모재(景慕齋)는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소재지에서 지방도...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은산리에 있던 조선 후기 학자 박문건을 모신 재각. 박문건(朴文健)은 영조(英祖)~순조(純祖) 대의 학자로, 호는 정관재(靜觀齋)이다. 진주 태생으로 1805년에 한치 마을로 옮겨와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1968년 후손들이 『정관재 문집(靜觀齋文集)』을 간행하였다. 경모재(景慕齋)는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소재지에서 지방도...
-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초명은 유병옥(柳炳鈺), 자는 경보(景普), 호는 유산(柳山). 정숙공(貞肅公) 유정현(柳廷顯)의 후손이다. 할아버지 유한태(柳漢泰)가 순창에서 현 무주군 적상면 삼유리로 이주하였다. 아버지는 증호조 참판 후재(后齋) 유최영(柳最榮)이다. 1848(헌종 14) 생원시에 합격한 유휴(柳烋)가 동생이다. 유도(柳燾)[18...
-
근대 무주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몽필(夢弼), 호는 경산(耕山). 동림(東林) 이이순(李以恂)의 후손이다. 할아버지 향사(香沙) 이규탁(李圭鐸)은 학행(學行)이 있었으며, 아버지 운촌(雲村) 이종익(李鍾翊)은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났다. 어머니는 정극순(丁克舜)의 딸 창원 정씨(昌原丁氏)이고, 부인은 박희양(朴熙陽)의 딸 반남 박씨(潘南朴氏)이다....
-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경서(景瑞), 호는 서악(瑞岳). 조선 전기 영의정을 지낸 문효공(文孝公) 하연(河演)의 10세손이다. 아버지 사양재(四養齋) 하위국(河衛國)이 임진왜란 때 무주 백운산(白雲山)으로 들어와 난을 피한 후 무풍면 현내리에 정착하였다.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金氏) 김일(金鎰)의 딸이다. 부인은 이경국(李慶國)의 딸이다. 형제...
-
조선 전기 무주 백산 서원 타진사에 배향된 문신. 하연(河演)[1376~1453]은 세종(世宗)이 즉위하자 지신사(知申事)가 되어 상왕(上王)이던 태종(太宗)과 세종 사이를 오가며 중개자 역할을 하여 그 능력을 인정받았고, 이후 외직과 내직을 번갈아 지내면서 영상(領相)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비교적 순탄하게 관직 생활을 하였다. 때로는 대간의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나고...
-
조선 전기 무주 백산 서원 타진사에 배향된 문신. 하연(河演)[1376~1453]은 세종(世宗)이 즉위하자 지신사(知申事)가 되어 상왕(上王)이던 태종(太宗)과 세종 사이를 오가며 중개자 역할을 하여 그 능력을 인정받았고, 이후 외직과 내직을 번갈아 지내면서 영상(領相)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비교적 순탄하게 관직 생활을 하였다. 때로는 대간의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나고...
-
전라북도 무주군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용역의 생산·분배·소비와 관련된 활동과 영역. 1960년대 초반 국내 전체 생산액의 약 6.2%를 차지하고 있던 전라북도의 생산액은 1970년대 초반에는 3% 미만으로 하락했고, 1970년대 후반에는 2% 초반까지 하락하였다. 그 이후로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 이때부터 전라북도에서는 ‘2% 경제론’, ‘지역 소외론...
-
조선 전기 무주 지역으로 이거한 유학자.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계광(啓光), 호는 취정(翠亭). 달성군(達城君) 서영(徐潁)의 9세손이며, 삼남 균전제처사(三南均田制處使) 귀계(龜溪) 서침(徐沈)의 7세손이다. 대구에서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으로 이주하였으며, 그 후손들이 대대로 세거하였다. 서효재(徐孝載)는 성품이 순하고 말이 적으며, 효심이 극진하고, 문장과 덕행...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부남면을 거쳐 장수군과 충청남도 금산군을 연결하는 지방도. 전라북도 북동부에서 시작해 충청남도 금산군 북서부의 대전광역시 경계까지 내륙 지역을 남북 방향으로 연결하는 지방도이다.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부남면에서 무주읍을 거치지 않고 충청남도 금산군 북부, 서부와 대전광역시 중구로 이동할 수 있다.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30호선,...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천연 동굴. 오수좌굴(吳首座窟)은 오수자(吳竪子) 혹은 오수좌(吳首座)라는 사람이 살았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오수좌는 힘이 세고 성질이 사나워 때때로 백련암에 가서 행패를 부려 걱정거리였다고 한다. 안성의 한 선비가 절에서 공부하는 것을 얕보고 오수좌가 싸움을 걸었는데, 선비는 미리 큰방에 불을 잔뜩 지펴 놓고 싸움을 시...
-
근대 무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자신(自信), 호는 계은당(溪隱堂). 문희공(文僖公) 신개(申皆)의 8세손인 신춘석(申春錫)[1572~1633]의 후손이다. 신백희(申百熙)[1857~1939]는 어려서부터 성품이 순양하고 곧았으며 효심이 깊었다. 무주 지역에서 거주하였는데, 학문을 좋아하여 고금의 문전(文典)을 섭렵하였다. 세상의 명리(名利)...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천연 동굴. 오수좌굴(吳首座窟)은 오수자(吳竪子) 혹은 오수좌(吳首座)라는 사람이 살았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오수좌는 힘이 세고 성질이 사나워 때때로 백련암에 가서 행패를 부려 걱정거리였다고 한다. 안성의 한 선비가 절에서 공부하는 것을 얕보고 오수좌가 싸움을 걸었는데, 선비는 미리 큰방에 불을 잔뜩 지펴 놓고 싸움을 시...
-
전라북도 무주군을 상징하는 군조. 몸길이 43~51㎝, 몸무게 440~550g이다. 수컷은 몸 빛깔이 아름답다. 여러 가지 색깔의 늘어진 댕기와 흰색 눈 둘레, 턱에서 목 옆면에 이르는 오렌지색 깃털[수염 깃], 붉은 갈색의 윗가슴, 노란 옆구리와 선명한 오렌지색의 부채꼴 날개 깃털[은행잎 깃] 등을 가지고 있다. 암컷은 갈색 바탕에 회색 얼룩이 있으며 복부는 흰색을 띤...
-
전라북도 무주군과 다른 시군 및 무주군 내의 읍면을 연결하는 산등성이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 무주군의 고개는 산줄기에 따라 분포하는데,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남도 거창군과의 경계이자 무주군 동부의 백두 대간에 위치하는 고개로는 부항령, 덕산재, 덕지리 고개, 빼재, 달암재, 동업령, 삿갓골재 등이 있다. 부항령[680m]은 무주군 무풍면과 김천시...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와 적상면 삼유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노재의 명칭 유래는 분명하지 않으나, 별칭인 장삼재는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와 적상면 삼유리에서 한 글자씩을 취한 것이다. 그 밖에 고리티재, 고노치라고도 부른다. 『한국 지명 총람』에 옛 고분[고려장]이 있어 고로치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고노재[440m]는 북쪽의 구왕산(九王山)...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와 적상면 삼유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노재의 명칭 유래는 분명하지 않으나, 별칭인 장삼재는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와 적상면 삼유리에서 한 글자씩을 취한 것이다. 그 밖에 고리티재, 고노치라고도 부른다. 『한국 지명 총람』에 옛 고분[고려장]이 있어 고로치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고노재[440m]는 북쪽의 구왕산(九王山)...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와 적상면 삼유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노재의 명칭 유래는 분명하지 않으나, 별칭인 장삼재는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와 적상면 삼유리에서 한 글자씩을 취한 것이다. 그 밖에 고리티재, 고노치라고도 부른다. 『한국 지명 총람』에 옛 고분[고려장]이 있어 고로치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고노재[440m]는 북쪽의 구왕산(九王山)...
-
초기 국가 시대부터 남북국 시대까지 전라북도 무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 우리나라의 고대사는 초기 국가 시대와 삼국 시대, 남북국 시대로 세분화된다. 현재의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적천현(赤川縣)과 두시이현(豆尸伊縣), 신라의 무산현(茂山縣)이 있었으며, 후기 신라 경덕왕(景德王) 대에 무산현은 무풍현(茂豊縣)으로, 적천현은 단천현(丹川縣)으로, 두시이현은 이성현...
-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중등 보통 교육 기관 및 실업 전문 교육 기관. 고등학교는 1949년에 공포된 「교육법」에서 채택한 6-3-3-4 단선형 학제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직전 3년간 후기 중등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이다. 후기 중등 교육을 담당하는 고등학교는 인문계와 실업계로 분화되어 있다. 현재 고등학교는 교육의 기회 균등을 강조하는 평준화를 기반으로 일반 고등학교와...
-
서기 918부터 서기 1392년까지 존속하였던 고려시대 무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 고려시대 무주 지역은 아직 하나의 행정 구역으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대체로 무풍현(茂豊縣)과 주계현(朱溪縣) 두 고을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오늘날의 무주군 안성면 지역 등 일부 지역은 현재 충청남도 금산군에 해당하는 부리현(富利縣)과 진례현(進禮縣)의 일부였다. 부리현은 현재의 충청남도 제원군 남부...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와 적상면 삼유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노재의 명칭 유래는 분명하지 않으나, 별칭인 장삼재는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와 적상면 삼유리에서 한 글자씩을 취한 것이다. 그 밖에 고리티재, 고노치라고도 부른다. 『한국 지명 총람』에 옛 고분[고려장]이 있어 고로치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고노재[440m]는 북쪽의 구왕산(九王山)...
-
전라북도 무주군의 문화재로 지정된 고문서와 무주 지역 관련 고문서의 현황. 고문서(古文書)는 특정한 주체가 어떠한 용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한 대상에게 전달한 글과 도장, 수결(手決)이 담긴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지만 국왕 문서(國王文書), 관부(官府)의 공문서(公文書), 왕실 등의 준공 문서(準公文書)와 개인·사찰·서원·결사 등이...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철목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재각. 고반재(考槃齋)는 김진한의 재각이다. 김진한의 호는 덕암(德庵)이며,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벼슬길에 나아가 의관(議官)에 이르렀다. 김진한은 성품이 인자하고 봉사 정신이 강해 해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곡식을 나누어 주는 등 선행을 베풀었다. 덕을 많이 베풀어 김진한의...
-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원삼국 시대~삼국 시대의 고대 무덤. 고분(古墳)은 지하 또는 지상에 매장 시설을 만들어 시신을 안치하고 그 위에 흙을 높이 쌓아 올려 만든 무덤을 통칭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고분이란 과거 사회에서 매장 의례 행위가 물질적인 증거로 남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의 개념은 과거의 모든 무덤들을 총칭하는 의미인 분묘(墳墓)와의 구분이...
-
전라북도 무주군에 서식하는 잉어과의 민물고기. 몸길이 약 13㎝로, 약간 길다. 몸 앞쪽은 굵고 꼬리자루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머리는 약간 뾰족한 모양으로 납작하다. 머리는 아래쪽이 편평하고 입은 주둥이 아래쪽에 위치한다. 입 주변에는 네 쌍의 수염이 있으며 한 쌍은 입 가장자리, 세 쌍은 아래턱 밑에 위치한다. 양쪽 가슴지느러미 주변의 배 쪽에는 비늘이 없다. 몸...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 분포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중 하나로, 거대한 바위가 지상에 드러나 있고 그 밑에 고임돌인 지석을 비롯하여 시신이 안치되는 무덤방, 돌을 쌓거나 깔아서 무덤 영역을 나타내는 묘역 등을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조사되는 대부분의 고인돌은 무덤뿐만 아니라 공동 무덤을 상징하는 묘의 표석, 종...
-
조선 시대에 제작된 전라북도 무주 지역의 옛 지도. 조선 시대에 무주부 또는 무주군을 그려 놓은 지도들을 고지도라고 하며, 그림식 또는 회화식(繪畵式) 지도가 대부분이며, 이외에 목판본(木版本) 지도들도 포함되어 있다. 무주부를 그린 고지도들은 무주 읍치를 중심으로 행정 경관[동헌, 내아, 객사, 아사, 창고 및 옥 등을 포함], 제사 경관[향교, 사직단, 성황단, 여단], 자연...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역에서 보이는 것이 높은 산과 짙푸른 숲밖에 없어 고창곡(高昌谷)이라 부르다가 고창리(高昌里)가 되었다고 한다. 본래 금산군 부남방(富南坊) 5개 리 중 대곡(大谷)에 딸렸던 법정리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무주군 부남면 고창리로 개설하였다. 다른 곳과는 달리 단일 행정리로 구획되어 있다. 고창 마을, 건너들 마을, 방...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고창리 고창 마을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고창리 고분군(高昌里古墳群)은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고창리 고창 마을의 북쪽을 감싸는 지류에 자리한다. 이 지류의 남쪽 비탈은 완만하여 고분이 자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고분군이 자리한 지역은 노루 고개를 넘어온 남북 방향의 교통로가 고창천(高昌川)을 따라가다 금강(錦江) 본류를 건너,...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고창리 고창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고창리 고창 산신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 밤 7시~8시에 산제당에서 마을 사람들의 무병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무주군 부남면 고창리 고창 마을에서는 고창리 고창 산신제를 모셨으나 1990년 무렵에 없어졌다. 제가 끊긴 이유는 제관이 제사...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무주 반디랜드 내에 있는 곤충 박물관. 무주곤충박물관(茂朱昆蟲博物館)은 무주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무주 지역의 청정 자연을 알리고, 지역 대표 명물인 반딧불이와 곤충들의 세계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건립하였다. 2006년 설립하여 2007년 5월 5일 개관하였다. 연면적 3,305.79㎡[약 1000평]의 지하 1층, 지상...
-
전라북도 무주군 지역의 공공건축 및 건축물. 공공건축은 사전적 의미로 공공성과 공용성을 갖는 건축물을 뜻한다. 대체로 관공서나 공공 단체가 운영하지만 민간에서 운영하는 것도 있다. 전라북도 무주의 공공건축은 이전에도 지속되어 왔지만 뚜렷한 특징을 보이지 못했었다. 그러다가 1996년 건축가 정기용(鄭寄鎔)이 무주 여행을 인연으로 ‘무주 공공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공공건...
-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공공 사무 처리 기관. 공공기관이란 사적 이익이 아니라 공공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기구와 조직을 의미한다. 지역 사회가 하나의 독립적 행정 단위로 자리 잡아 가면서, 주민들의 삶과 편의를 위한 공공 서비스의 필요성이 늘어나게 되고, 공공기관의 역할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행정과 교육, 의료, 복지 등을 담당하는 공공 기관은 오랜 옛날부터...
-
전라북도 무주 도산 서원에 배향된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은경(殷卿), 호는 심재(心齋). 증조할아버지는 형조도관 좌랑(刑曹都官佐郞)을 지낸 김열(金閱)이며, 할아버지는 가선대부 병조 참판(嘉善大夫兵曹參判)에 증직(贈職)된 김달손(金達孫)이다. 아버지는 강화 도호부사(江華 都護府使)를 지낸 김수(金洙)이고, 외할아버지는 권항(權恒)이다. 부인은 성천...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에 있는 관할 농업 관개용 저수지. 공정저수지(公正貯水池)는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농업용수의 주수원이 되는 저수지이다. 농업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써 농업 생산력을 높이기 위한 공정 지구 농촌 용수 개발 사업으로 건립하였다. 1992년 12월 23일 착공하여 2002년 11월 30일 준공하였다. 당시 소요된 사업비는 205억 97...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에 있는 관할 농업 관개용 저수지. 공정저수지(公正貯水池)는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농업용수의 주수원이 되는 저수지이다. 농업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써 농업 생산력을 높이기 위한 공정 지구 농촌 용수 개발 사업으로 건립하였다. 1992년 12월 23일 착공하여 2002년 11월 30일 준공하였다. 당시 소요된 사업비는 205억 97...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공정리(公正里)의 봉산 마을은 ‘벌통말’이라고도 불리는데, 마을 뒷산의 형세가 벌통과 같이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탄 마을은 마을의 토질이 모래밭으로 되어 있어 ‘모래 여울[사시랏]’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덕유산 서록(西麓)에 위치한 공정리는 특수 행정 기관인 안성소(安城所)가 설치되었던...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봉산리 마을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공정리 고분군(公正里古墳群)은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봉산리 마을에서 농로를 따라 동쪽으로 400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자리한다. 만봉(萬峯)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내린 한 갈래의 지류가 봉산리 마을의 서쪽과 남동쪽을 감싸고 있다. 고분군은 봉산리 마을의 동쪽과 남쪽을 감싸는 지류에 해...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내당 마을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공정리 내당 고분군(公正里內堂古墳群)은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내당 마을에서 농로를 따라 남쪽으로 200m 정도 떨어진 거리에 위치한 구릉에 자리한다. 이 구릉은 만봉(萬峯)[699.7m]에서 북서쪽으로 뻗은 지류의 끝자락에 해당한다. 2006년에 전북 대학교 박물관이 실시한 무주 관광...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외당 마을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외당 마을에서 북동쪽으로 500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외당 소류지가 위치한다. 공정리 외당 고분군(公正里外堂古墳群)은 외당 소류지의 북쪽을 감싸는 구릉에 자리한다. 2006년에 전북 대학교 박물관이 실시한 무주 관광 레저 기업 도시 개발 사업 부지 내 문화 유적...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에 있는 삼국~조선 시대 유물산포지.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일대에는 삼국 시대~조선 시대에 해당하는 12개소의 유물산포지가 자리하고 있다.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는 안성면의 동쪽 지역에 자리한다. 안성면 소재지에서 국도 제37호선을 따라 남동쪽[칠연 의총(七淵義塚) 방면]으로 가다 보면 내당 마을과 봉산 마을, 사탄 마을,...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통안마을에 있는 숲. 공정리 통안마을 숲은 마을 입구에 자리잡은 전형적인 수구막이 역할을 하는 민간 신앙 유적이다. 수구막이란 마을에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거나 또는 마을의 기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것을 말한다. 마을 숲은 민속적으로는 마을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고, 풍수 지리적으로는 좋은 땅을 조성하는 구조...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공진리(貢進里)는 고려 때의 명신인 김신(金侁)의 고향으로, 김신이 왕의 추천[貢]을 받아 원나라에 나아가[進] 큰 벼슬을 얻었다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일설에는 국가에서 김신에게 땅을 내려주고 지방민이 국가에 바칠 공물(貢物)을 그 후손들에게 바치게 하여 붙여진 지명이라고도 한다. 김신은 고려 고종...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 주고 마을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공진리 고분군(貢進里古墳群)은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 주고 마을에서 북동쪽으로 500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고분군은 민지봉[549.7m]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내린 지류의 남쪽 비탈부에 자리한다. 남쪽으로는 계북천이 북서류하고 있으며, 주변에 충적지가 발달되어 유적이 자리하기에...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공진리 고인돌1은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무주 안성 CC 서남쪽 끝 공진리 주고 마을 북서쪽에 위치한다. 무주군 안성면 무주 안성 CC 앞에 공진리가 있고 그 사이로는 남북으로 국도 제19호선이 지나간다. 국도 제19호선을 따라 남쪽으로 2㎞ 가면 지방도 제635호선과 분기되는 삼거리가 있고, 지방도...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공진리 고인돌2는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의 무주 안성 CC 서남쪽 끝 공진리 주고 마을 주고 경로당 인근에 위치한다. 무주군 안성면 무주 안성 CC 앞에 공진리가 있고, 그 사이로는 남북으로 국도 제19호선이 지나간다. 국도 제19호선을 따라 남쪽으로 2㎞ 가면 지방도 제635호선과 분기되는 삼거리가...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에 있는 삼국 시대·고려 시대 유물산포지. 공진리 유물산포지(貢進里遺物散布地)는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 주고 마을 일대에 분포한다. 공진리 유물산포지1은 주고 마을의 북쪽 구릉 하단부에 자리하며, 공진리 유물산포지2는 주고 마을의 남동쪽으로 펼쳐진 큰 뜰이라 불리는 평야의 서쪽에 해당한다. 2007년에 원광 대학교 마한·백제...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 주고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탑. 공진리 주고마을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공진리 주고마을 돌탑은 풍수 비보적인 기...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 주고마을에 있는 숲. 공진리 주고마을 숲은 마을 입구에 자리잡은 전형적인 수구막이 역할을 하는 민간 신앙 유적이다. 수구막이란 마을에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거나 또는 마을의 기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것을 말한다. 마을 숲은 민속적으로는 마을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고, 풍수 지리적으로는 좋은 땅을 조성하는 구조...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공진리 고인돌1은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무주 안성 CC 서남쪽 끝 공진리 주고 마을 북서쪽에 위치한다. 무주군 안성면 무주 안성 CC 앞에 공진리가 있고 그 사이로는 남북으로 국도 제19호선이 지나간다. 국도 제19호선을 따라 남쪽으로 2㎞ 가면 지방도 제635호선과 분기되는 삼거리가 있고, 지방도...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공진리 고인돌2는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의 무주 안성 CC 서남쪽 끝 공진리 주고 마을 주고 경로당 인근에 위치한다. 무주군 안성면 무주 안성 CC 앞에 공진리가 있고, 그 사이로는 남북으로 국도 제19호선이 지나간다. 국도 제19호선을 따라 남쪽으로 2㎞ 가면 지방도 제635호선과 분기되는 삼거리가...
-
전라북도 무주군 지역에서 연구·개발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자연 과학·응용과학·공학 및 생산 기술. 박정희(朴政熙) 정권 집권 이후 한국 사회는 과학 입국(科學立國)과 근대화를 기치로 공업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과학기술에 기초한 근대화 전략은 농촌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1965년 농협이 ‘새 농민 운동’을 선언하고, 그 3대 강령 중 하나로 ‘과학하는 농민’을...
-
전라북도 무주군의 산업 분야 중 관광객을 대상으로 교통, 숙박, 오락 등을 제공하는 산업. 전라북도 무주군은 지역 내 관광 자원을 연계하고 5개 도가 인접한 입지적 특성을 감안하는 거점별 관광 개발과 ‘대한민국 대표 관광 무주’를 전략으로 해서 ‘매력 있는 관광 도시 육성, 태권도로 세계인이 찾는 관광지로 도약, 화합과 소득의 축제 육성, 도시민이 찾아오는 마...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7 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 관음사(觀音寺)는 1938년 설천 포교당으로 출발하여 1941년 현재의 위치인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1224번지[양지길 92-38]에 건립되었다. ‘관음사’라는 사명(寺名)은 1958년 안심(安心) 승려가 ‘관음사’라는 현판을 붙인 데서 비롯되었다. 현재 본전인...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관음사 법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 관음보살상. 관음사 법보전 목조 관음보살 좌상(觀音寺法寶殿木造觀音菩薩坐像)은 원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보석사(寶石寺)에 있던 것을 옮겨왔다고 전한다. 관음사 법보전 목조 관음보살 좌상은 연화문(蓮花文)과 화염보주(火炎寶珠)로 장식된 화려한 보관을 착용하고 있다. 얼굴은 살집이...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관음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패. 불패(佛牌)는 부처나 승려를 모시는 위패(位牌)로, 주로 경서, 불보살의 명호(名號), 승려의 법명이나 발원 내용 등을 적어 놓은 패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구름 모양이나 보주 모양의 패신과 패두, 연꽃 형태의 좌대로 구성되는데 패신에는 꽃·용·구름 등으로 화려하게 조각하는 것이 특징이다. 관음사 불...
-
조선 후기 무주 지역으로 이거한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이환(而煥), 호는 관일당(貫一堂)·정관재(靜觀齋). 송은(松隱) 박익(朴翊)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지사(知事) 박중엽(朴重燁)이다. 어머니는 강위경(姜渭擎)의 딸인 진주 강씨(晋州姜氏)이다. 박문건(朴文健)[1770~1805]은 경상남도 진주(晉州)에서 출생하였다. 1805년(순조 5) 지금의 전라북도...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한 개인이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거행하는 의례. 평생 의례(平生儀禮)란 개인이 태어나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죽은 이후에도 단계별로 거치는 의례로 출산 의례(出産儀禮),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제례(祭禮)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평생 의례라는 용어는 ‘관혼상제’, ‘통과 의례’ 등의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서식하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광릉요강꽃은 난초과 복주머니란속[개불알꽃속]에 속하며, 학명은 Cypripedium japonicum Thunberg이다. 남부 온대 아시아와 유럽 중부, 온대 북아메리카에 30~50종이 나며 우리나라에는 3종 2변종이 자란다. 꽃 모양이 요강을 닮고 광릉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광릉요강꽃’이라 부르며, ‘광릉...
-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서식하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광릉요강꽃은 난초과 복주머니란속[개불알꽃속]에 속하며, 학명은 Cypripedium japonicum Thunberg이다. 남부 온대 아시아와 유럽 중부, 온대 북아메리카에 30~50종이 나며 우리나라에는 3종 2변종이 자란다. 꽃 모양이 요강을 닮고 광릉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광릉요강꽃’이라 부르며, ‘광릉...
-
김흥광을 시조로 하고, 김경조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무주군의 세거 성씨. 광산김씨의 시조 김흥광(金興光)은 신라 신무왕(神武王)의 셋째 아들로, 신라의 멸망을 예견하고 무진주(武珍州)에 은거하였는데,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 태조가 광산 부원군(光山府院君)에 봉하였다고 한다. 이에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삼고 광산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고려...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있었던 천주교 공소. 1961년 3월 1일 황택규[토마스]가 괴목 초등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가족과 함께 이 지역에 전교를 시작하였다. 같은 해 5월에 도광석[레오] 신부의 후원으로 임야 4,950㎡를 개간하고,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돈사를 신축하였다. 또한 도광석 신부의 후원으로 10월 1일 재건 중학교를 설립하여 전임 강사로...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있는 농촌 체험 마을. ‘괴목(槐木)’은 가장 큰 마을인 괴목마을에서 유래한 이름인데, 마을에 괴목[느티나무]이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삼괴(三槐) 장지현(張智賢)의 후손들이 괴목 세 그루를 심었다고 해서 붙여졌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장지현은 무주군 무주읍 당산리 사람으로, 국가에서 충신(忠臣)의 정려(旌閭)를 내려주자 고향인...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있는 농촌 체험 마을. ‘괴목(槐木)’은 가장 큰 마을인 괴목마을에서 유래한 이름인데, 마을에 괴목[느티나무]이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삼괴(三槐) 장지현(張智賢)의 후손들이 괴목 세 그루를 심었다고 해서 붙여졌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장지현은 무주군 무주읍 당산리 사람으로, 국가에서 충신(忠臣)의 정려(旌閭)를 내려주자 고향인...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괴목저수지(槐木貯水池)는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농업용수의 주수원이 되는 저수지이다. 농업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써 농업 생산력을 높이기 위한 괴목 지구 농촌 용수 개발 사업으로 건립하였다. 1976년 1월 1일 착공하여 1978년 10월 31일 준공하였다. 당시 소요된 사업비는 총 3억 2697만 7...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포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생각이 깊은 어린이, 행동이 지혜롭고 스스로 자신을 존중하며 남을 배려할 줄도 아는 어린이'이다. 교훈은 '스스로 배우고 익혀 슬기롭고 성실한 괴목 어린이'이다. 1934년 4월 16일 무주 공립 보통학교 부설 괴목 간이 학교로 개교하였다. 1938년 12월 24일 학구 변경으로 적상 공립 심상소학교 부...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포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생각이 깊은 어린이, 행동이 지혜롭고 스스로 자신을 존중하며 남을 배려할 줄도 아는 어린이'이다. 교훈은 '스스로 배우고 익혀 슬기롭고 성실한 괴목 어린이'이다. 1934년 4월 16일 무주 공립 보통학교 부설 괴목 간이 학교로 개교하였다. 1938년 12월 24일 학구 변경으로 적상 공립 심상소학교 부...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에 속하는 법정리. 괴목리(槐木里)는 가장 큰 마을인 괴목 마을에서 유래한 이름인데, 마을에 괴목[느티나무]이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삼괴(三槐) 장지현(張智賢)의 후손들이 괴목 세 그루를 심었다고 해서 붙여졌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상곡면 지역에 있는 괴목, 치목, 상조, 하조, 중리 일부를 합하고...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하조 마을에서 남동쪽으로 1㎞ 정도 떨어진 지점에 새치골이 위치하는데, 새치골 입구의 좌측에 있는 구릉에 괴목리 고분(槐木里古墳)이 자리한다. 2007년에 원광 대학교 마한·백제 문화 연구소가 실시한 『문화 유적 분포 지도-무주군』 작성을 위한 지표 조사 시 확인되었다. 조사...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있는 삼국~고려 시대 유물산포지. 유물산포지는 발굴 조사의 결과에 따른 명칭은 아니며, 사전 조사인 지표 조사에서 뚜렷한 유구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땅 위의 일정한 장소에 유물이 흩어져 있는 곳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하의 어떤 유구가 파괴되면서 유구 안에 있던 유물이 밖으로 노출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문화재 지표 조...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절터. 1643년(인조 21)에 이조 판서 이식(李植)이 왕명으로 적상산 사고(赤裳山史庫)를 순찰하고 병자호란 이후 적상산 사고의 관리와 적상산성(赤裳山城) 방비의 허술함을 보고하였다. 이에 인조(仁祖)는 적상산 사고의 수호 사찰로서 호국사(護國寺)를 창건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괴목리 호국사 터에 현존하는 적상산성 호국사비...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절터. 1643년(인조 21)에 이조 판서 이식(李植)이 왕명으로 적상산 사고(赤裳山史庫)를 순찰하고 병자호란 이후 적상산 사고의 관리와 적상산성(赤裳山城) 방비의 허술함을 보고하였다. 이에 인조(仁祖)는 적상산 사고의 수호 사찰로서 호국사(護國寺)를 창건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괴목리 호국사 터에 현존하는 적상산성 호국사비...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포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생각이 깊은 어린이, 행동이 지혜롭고 스스로 자신을 존중하며 남을 배려할 줄도 아는 어린이'이다. 교훈은 '스스로 배우고 익혀 슬기롭고 성실한 괴목 어린이'이다. 1934년 4월 16일 무주 공립 보통학교 부설 괴목 간이 학교로 개교하였다. 1938년 12월 24일 학구 변경으로 적상 공립 심상소학교 부...
-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하천이나 도로 등과 같은 지형지물의 위로 건널 수 있도록 만든 인공 구조물. 교량은 교통로·수로 등이 하천, 계곡, 움푹 꺼진 땅, 그 밖에 통로의 기능을 저해하는 것에 직면하였을 경우 이를 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각종 구조물을 말한다. 무주군은 백두 대간(白頭大幹)의 등줄기에 위치하고 있어 임야가 84%를 차지하는 산악 지대이다. 그리고...
-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간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모든 행위.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근대 교육의 시작은 대부분 다른 지역의 근대 교육이 선교사들의 선교 활동에 의해 시작된 것과는 달리, 1909년(순종 3)에 민간인의 주도에 의해 무주 향교(茂朱鄕校) 명륜당(明倫堂)에 설립된 사립 무주 명륜 학교(茂朱明倫學校)가 시...
-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운송 수단과 운송로. 무주군은 전라북도의 북동부 산간 지방에 위치하여 교통로가 현대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발달하였다. 전라북도·충청남도·충청북도·경상북도의 경계에 위치한 중부 내륙 지역으로, 1970년대 이후 단계적으로 교통로가 확충되어 현재는 접근성이 양호하다. 산지가 많은 지형적 영향으로 교량과 터널이 도로 곳곳에 분포한다. 철도는...
-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고 성령에 의해 결합된 신자들의 공동체 또는 그 공간. 보통 ‘교회(敎會)’라 하면 뾰족한 탑에 십자가가 있는 건물로 인식하는데, 사전적 의미는 성령에 의해 결합되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들의 공동체이다. 영어로 ‘Church’는 헬라어 퀴리아코스(Kyriakos)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주께 속한’ 또는 ‘주의 집’을 뜻한...
-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열녀. 구길생(具吉生)의 처 양씨는 집이 너무도 가난하여 남편이 죽었을 때 거적으로 남편을 싸서 장사를 지낼 정도였다. 하지만 그러한 가난 속에서도 병든 남편과 시부모와 시동생들을 지극정성으로 모시고 보살폈다. 남편이 죽은 후에는 아침저녁으로 남편의 제사상에 전(奠)을 올리는 일을 빠뜨리지 않았으며, 그때마다 가슴을 치고 슬피 울어...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삼가리와 방이리 경계에 있는 산. 구리골산은 무주군 적상면 사산리 갈골 마을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하며, 단양산, 구래골산, 가리골산이라고도 부른다. 구리골산[658m]은 북쪽으로 마향산(馬香山)[730m], 남쪽으로 봉화산(烽火山)[885m]으로 연결되는 산줄기의 중간 지점으로, 무주군 적상면 내에서 방이리 계곡과 적...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에서 발원하여 장기리, 진도리를 흐르는 하천. ‘구량천(九良川)’이라는 이름은 동향면(銅鄕面)이라는 이름과 관련이 깊다. ‘구량(九良)’이라는 이름은 본디 구리가 나는 고장이라 해서 ‘구리향’이라 불렀는데 이 음을 한자로 적은 것이다. 동향면은 조선 시대 운봉현 동면 지역이었고 고려 때부터 구리를 생산하는 특수 부락인 동향(銅鄕)이 있었다....
-
장악을 시조로 하고, 장의현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무주군의 세거 성씨. 시조 장악(張岳)은 인동 장씨 시조 장정필(張貞弼)의 후손으로, 고려 인종 때 문하시중을 지내며 왕의 총애를 받았다. 나이 70세에 이르러 입조(入朝)할 때마다 고향인 봉성(鳳城)[현 전라남도 구례군]을 생각하고 근심이 가득하였다. 이를 알게 된 왕이 봉성을 식읍(食邑)으로 하사(下賜)하고 봉성군...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삼가리와 방이리 경계에 있는 산. 구리골산은 무주군 적상면 사산리 갈골 마을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하며, 단양산, 구래골산, 가리골산이라고도 부른다. 구리골산[658m]은 북쪽으로 마향산(馬香山)[730m], 남쪽으로 봉화산(烽火山)[885m]으로 연결되는 산줄기의 중간 지점으로, 무주군 적상면 내에서 방이리 계곡과 적...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에서 발원하여 장기리, 진도리를 흐르는 하천. ‘구량천(九良川)’이라는 이름은 동향면(銅鄕面)이라는 이름과 관련이 깊다. ‘구량(九良)’이라는 이름은 본디 구리가 나는 고장이라 해서 ‘구리향’이라 불렀는데 이 음을 한자로 적은 것이다. 동향면은 조선 시대 운봉현 동면 지역이었고 고려 때부터 구리를 생산하는 특수 부락인 동향(銅鄕)이 있었다....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말과 기억에 의존하여 전해 내려오는 민간 지식의 총칭. 구비 전승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전승 문화를 가리킨다. 구비 전승물에는 문학적인 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욕설이나 금기어 같은 비문학적인 것들도 있고, 사실이나 사건에 대한 증언처럼 역사적인 것들도 있다. 구비 전승이라고 할 때는 이러한 모든 것을 포괄할 수 있다. 다만 ‘구전’에 ‘문학’...
-
전라북도 무주군 덕유산에 자라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 교목. 구상나무는 전나무속에 속하며 학명은 Abies koreana Wilson이다. 덕유산의 깃대종[지역의 대표적인 생태계, 경관, 문화 등에 대한 상징적·생태적 의미로 선정된 종]이다. 식물학자 윌슨이 1920년에 구상나무를 한국 특산 식물임을 밝히고 학명에 korea를 명기하였다. 한라산, 지리산, 덕...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와 적상면 삼유리의 경계에 있는 산. 구왕산(九王山)[677m]은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와 적상면 삼유리의 경계에 위치하며, 동쪽의 국기산[568m]은 구왕산의 지선이다. 북쪽으로 조항산(鳥項山)[799m]과 연결되며, 남쪽으로는 불당산(佛堂山)[627m]과 연결된다. 동쪽의 삼유천(三柳川)과 서쪽의 안창천(安昌川)의 분수계 역할을...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말과 기억에 의존하여 전해 내려오는 민간 지식의 총칭. 구비 전승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전승 문화를 가리킨다. 구비 전승물에는 문학적인 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욕설이나 금기어 같은 비문학적인 것들도 있고, 사실이나 사건에 대한 증언처럼 역사적인 것들도 있다. 구비 전승이라고 할 때는 이러한 모든 것을 포괄할 수 있다. 다만 ‘구전’에 ‘문학’...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조적 지성과 굳센 의지를 가지고 따뜻한 마음과 아름다운 감성을 가진 사람, 섬세한 손과 튼튼한 몸을 갖춘 조화로움으로 사랑·배움을 나누는 사람, 타인과 환경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 가는 배려하는 사람, 차이를 인정하고 편견 없이 대하며, 모든 생명체와 공존·공유하며 더불어 성장하는...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조적 지성과 굳센 의지를 가지고 따뜻한 마음과 아름다운 감성을 가진 사람, 섬세한 손과 튼튼한 몸을 갖춘 조화로움으로 사랑·배움을 나누는 사람, 타인과 환경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 가는 배려하는 사람, 차이를 인정하고 편견 없이 대하며, 모든 생명체와 공존·공유하며 더불어 성장하는...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구천초등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위치한 구천초등학교는 1934년에 설천 보통학교 부설 심곡 간이 소학교로 개교하였다. 현재 구천초등학교 본관 2층 동쪽 전시장에 고고·역사·미술·전적·민속 등에 관련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모두 80여 점의 유물들이 있는데, 이 중 무주군의 역사와 문...
-
6·25 전쟁 후 월북하지 못하고 빨치산으로 남아 있던 무주 지역의 공비들을 토벌하기 위한 작전. 1950년 7월 24일 새벽 공산군이 무주읍 내에 들어왔다가 9월 26일 철수하였다. 그러나 월북하지 못하고 남아 있던 공비들이 무주 주변의 산간 지역으로 들어가서 경찰서 파견대 등 후방을 공격하는 일이 있었다. 1950년 9월 공산군이 철수한 이후 무주 지역 청년들은 공산 투쟁단,...
-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무주 구천동 관광 활성화 도모 단체. 무주 구천동은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에 위치해 있다. 나제통문(羅濟通門)을 지나 36㎞에 걸친 덕유산(德裕山) 향적봉(香積峰)에 이르기까지 기암괴석과 희귀한 동식물이 어우러진 태고적 원시림에 맑은 물이 소와 담과 폭포를 이루면서,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내고 있다. 남대천(南大川) 상류에는 물의 소용돌이...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구천동교회는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 지역의 복음 전파를 위해 설립되었다. 1954년 3월 10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서 천막 교회로 시작되었으며, 초대 교역자는 유인복 전도사였다. 노년의 성도들은 어렸을 때 다녔던 당시의 교회를 “한 겨울이면 난방을 위한 땔감을 준비하기 위...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구천동교회는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 지역의 복음 전파를 위해 설립되었다. 1954년 3월 10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서 천막 교회로 시작되었으며, 초대 교역자는 유인복 전도사였다. 노년의 성도들은 어렸을 때 다녔던 당시의 교회를 “한 겨울이면 난방을 위한 땔감을 준비하기 위...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무주 구천동 관광 특구 내에 있는 버스정류소.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 주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위해 개인 사업자가 1981년에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416-1번지[구천동1로 77]에 구천동 버스 터미널을 건립하였다. 매표소와 소규모 상점을 갖춘 지상 2층, 부지 면적 4,001㎡ 규모의 터미널이었다. 1997년 1월...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무주 구천동 관광 특구 내에 있는 버스정류소.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 주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위해 개인 사업자가 1981년에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416-1번지[구천동1로 77]에 구천동 버스 터미널을 건립하였다. 매표소와 소규모 상점을 갖춘 지상 2층, 부지 면적 4,001㎡ 규모의 터미널이었다. 1997년 1월...
-
전라북도 무주군 덕유산 향적봉 일대에 자생하는 주목 군락지. 주목은 주목과 주목속에 속하는 침엽수로 학명은 Taxus cuspidata이고, 한국·일본·중국·대만 등 동남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이다. 고산성 상록 교목으로 대부분 해발 1,000m 이상 높은 산에서 군락을 이루어 자란다. 구름과 안개가 많은 곳, 습기가 많고 비옥한 곳,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와 설천면 심곡리의 접경에 있는 터널.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에 대비해 국가 지원 지방도 제49호선의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적상면 괴목리 구간을 정비하면서 1996년 12월에 구천동터널 하행을 개통하였다. 2003년 12월 22일에 적상면 괴목리 하조 사거리와 설천면 심곡리의 리조트 삼거리를 잇는 치마재...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두길리에 있는 전통 한과 제조업체. 무주 구천동 한과는 무주 구천동 고랭지의 맑고 청정한 차진 쌀을 주원료로 하고 집안의 내림 조리법을 그대로 이어받아 그 맛과 모양을 옛 모습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농가의 부업으로 만들어 팔던 한과가 입소문으로 주문이 늘어나자 자신을 얻어 농가 부업에서 전업으로 전환하여 생산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노거수. 반송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소나무의 변종이며, 학명은 Pinus densiflora for. muticaulis Uyeki이다. 숲에서는 흔하지 않고, 주로 묘지 주변이나 공원 등지에서 볼 수 있다. 햇볕을 좋아하는 양수(陽樹)이며,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고 산성 땅을 좋아한다. 상록 침엽 교목으로 암수한...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조적 지성과 굳센 의지를 가지고 따뜻한 마음과 아름다운 감성을 가진 사람, 섬세한 손과 튼튼한 몸을 갖춘 조화로움으로 사랑·배움을 나누는 사람, 타인과 환경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 가는 배려하는 사람, 차이를 인정하고 편견 없이 대하며, 모든 생명체와 공존·공유하며 더불어 성장하는...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적상면·설천면을 거쳐 전라남도 해남군과 강원도 원주시를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한반도 남서부 끝자락인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에서 중부 내륙의 강원도 원주시 우산동을 연결하는 남서~북동 방향의 노선이다.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에서 대고개를 지나 무주군의 남서부인 안성면 진도리에서 북동진하며 적상면, 설천면의 덕유산 국립 공원을 가로지른다...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적상면·무주읍을 거쳐 경상남도 남해군과 강원도 홍천군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 경상남도 남해군 해안[미조면]을 기점으로 섬진강 연안 지역[경상남도 하동군, 전라남도 구례군]을 거쳐 소백산맥의 서쪽 사면을 따라 한반도의 중앙 내륙 지역[전라남도 남원시·장수군·무주군, 충청북도 영동군·옥천군·보은군·청주시·괴산군]을 남북 방향으로 관통한 다음...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적상면·무주읍·설천면·무풍면을 거쳐 전라북도 부안군과 대구광역시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 제30호선은 전라북도 서해안[부안군]에서 시작해 전라북도 동부 내륙[김제시·정읍시·임실군·진안군·무주군], 경상북도 남서부[김천시·성주군]를 지나 대구광역시의 서부[달성군·달서구]를 연결하는 동서 노선이다.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과 무주군 접경에...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설천면·무주읍·부남면을 거쳐 경상남도 거창군과 경기도 파주시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시작해 전라북도 북동부 산간 지역[무주], 충청남도·충청북도[금산·옥천·보은·청원·괴산·음성] 내륙 산간 지역을 거쳐 서울특별시 외곽의 경기도 남부·동부·북부 지역[여주·양평·가평·포천·연천]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 파주시 문산읍까지...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국립공원공단 산하의 덕유산 국립 공원 관리 사무소. 국립공원공단 덕유산 관리 사무소는 덕유산 국립 공원의 자연 생태계와 자원을 보전·보호하고 올바르고 편리한 탐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5년 2월 1일 덕유산이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었고, 같은 해 8월 1일 전라북도가 관리하는 덕유산 국립 공원 전라북도 관...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에 있는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치료 학교.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은 2007년 폐교된 무주 공진 초등학교를 개보수해 설립한 교육 기관으로, 60여 명 가량이 기숙 생활을 할 수 있는 숙박 시설과 강의실, 상담실, 특성화 활동실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시도 교육청에서 지정하는 대안 교육 위탁 기관으로, 입소를 원하는 학생은 수업...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태권도 박물관. 국립태권도박물관은 국립 태권도원이 건립되면서 태권도의 역사와 문화를 한곳에 전시하여 태권도에 대한 이해와 전통을 지켜 나가고, 태권도와 관련한 유물 및 자료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건립하였다. 2014년 4월 11일~10월 31일까지 제1종 전문 박물관 등록 절차 준비 기간을 거쳐, 2014년 12월 29일...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태권도 체험 및 수련·연구를 위한 시설. 국립태권도원(國立跆拳道園)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무도인 태권도의 성지를 만들자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태권도의 세계화와 한류 브랜드에 걸맞은 장소를 만들기 위하여 조경, 건축물에도 한국의 전통 건축미와 자연 환경을 그대로 살리면서 조성되었다. 2004년 12월 무주군이 태권도 공원...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에 있는 무주 군민에 대한 보험 서비스 업무를 관장하고 있는 공공 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 진안 지사 무주 출장소는 무주 군민의 건강 향상, 사회 보장 증진, 국민 건강 보험법 및 국민 건강 보험법 시행령에 규정된 사업 등에 관한 업무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전라북도 무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에 있는 산. 국사봉(國師峰)[757m]은 무주군 부남면의 가장 남쪽에 있어 진안군 동향면과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북쪽의 장안천[상대곡 저수지]과 남쪽의 구량천(九良川)의 분수계를 이룬다. 동서로 산체를 이루며, 동쪽으로 노루 고개를 거쳐 불당산(佛堂山)과 봉화산(烽火山)으로 연결되며, 서북쪽으로는 형제봉과 연결된다. 경위도상으로는...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에 있는 신흥 외래 종교인 국제도덕협회 일관도의 무주 지역 지부. 일관도(一貫道)는 1947년 중국인 이덕복(李德福), 장서전(張瑞殺), 김은선(金恩善) 등에 의하여 중국에서 유입된 외래 종교이다. 유불선(儒佛仙)을 융합하여 일관한다는 뜻에서 ‘일관도’라고 한다. 달마(達磨)를 초조(初祖)로 하여 18대 궁장 조사(弓長祖師)[장광벽...
-
근대 무주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군범(君範), 호는 백고(栢皐). 조선 전기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하재황(河在璜)이고, 아버지는 하대호(河大鎬)이다. 하재황은 백록동 서원(白鹿洞書院) 규약과 남전 향약(藍田鄕約)을 강구하여 고을을 교화하였고, 사창(社倉) 운영 책임을 맡아 흉년이 들자 농민들을 위해 환곡(還穀) 대신 쭉정이를 받아들였...
-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효자이자 충신. 본관은 흥양(興陽). 자는 군진(君珍), 호(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