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와 굴암리를 흐르는 하천. 가당천(柯堂川)이라는 이름은 하천이 흐르는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에서 비롯되었다. 가당리는 본래 충청남도 금산군 부남면에 속한 지역인데, 1895년(고종 32) 무주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가정리, 상평당리, 하평당리를 병합하여 가정과 평당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가당천’...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에서 발원하여 장기리, 진도리를 흐르는 하천. ‘구량천(九良川)’이라는 이름은 동향면(銅鄕面)이라는 이름과 관련이 깊다. ‘구량(九良)’이라는 이름은 본디 구리가 나는 고장이라 해서 ‘구리향’이라 불렀는데 이 음을 한자로 적은 것이다. 동향면은 조선 시대 운봉현 동면 지역이었고 고려 때부터 구리를 생산하는 특수 부락인 동향(銅鄕)이 있었다....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과 무주읍을 거쳐 충청남도 금산군 일대로 유입되는 강. 금강은 남한에서 한강과 낙동강 다음으로 큰 강이다. 금강 본류는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의 수분리 원수분천[강태등골]에서 시작하여 진안 고원과 덕유산 지역에서 흘러오는 구리향천(九里香川)·정자천(程子川) 등 여러 지류들과 만나 북쪽으로 흐른다. 전라북도의 북동부 경계 지역에 이르러 남대...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에서 발원하여 현내리를 흘러 남대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금평천(金坪川)’이라는 이름은 마을 이름인 ‘금평리’에서 따온 것이다.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금척(金尺)과 덕평(德坪)을 합쳐서 붙인 이름이다. 따라서 금평천은 이 이후에 붙은 이름일 것이다. 그런데 『호구 총수(戶口總數)』에 풍동면(豊東面) 금천리(金川...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과 설천면, 무주읍을 흐르는 하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무주]에 "적천(赤川)은 대덕산(大德山)에서 나와 객관(客館) 앞을 지나 금산군 경내로 흘러간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는 본래 무주 남대천(南大川)을 ‘적천(赤川)’이라고 하였음을 알려준다. ‘적천’은 본래 백제 때 이 지역의 군현 명칭이었으므로 상당히 오래된 지명...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에서 발원하여 금평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무주군 무풍면과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의 경계를 이루는 대덕산(大德山)[853.1m]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 일대를 흐르다가 금평천(金坪川)으로 합류한다. 금강권역 금강 수계의 지방 하천으로 금강의 제3지류이며, 무주 남대천(南大川)의 제2지류, 금평천의 제1지류이다. 백...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오산리에서 남대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대왕천은 무주군 무주읍 오산리 북쪽 백하산에서 발원하여 오산리 마을 회관 인근에서 남대천(南大川)으로 유입된다. 유로가 짧고 하도 양안에 평지가 적다. 중류의 왕정 마을 일대에 천연기념물 제249호로 지정된 무주 오산리 구상 화강 편마암이 분포한다. 대왕천은 유로 연장 4㎞, 유역 면적 8...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증산리에서 발원하여 남대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도마천(道馬川)’이라는 이름은 무주군 무풍면 덕지리의 도마 마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문헌에서 도마 마을에 대한 기록은 찾을 수 없다. 또 『조선 지형도(朝鮮地形圖)』에서도 도마 마을이라는 표시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런데 도마 마을은 무주 남대천(南大川) 상류 유역에 있는 마을이며, 도마천 상류...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와 장기리를 흐르는 하천. ‘명천(明川)’이라는 이름은 상류의 무주군 안성면의 행정리인 명천리에서 비롯되었다. 명천리는 덕유산 국립 공원에 속한 명천 계곡(明川溪谷)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있다. 과거에는 냇물이 운다 하여, 지금은 냇물이 맑다 하여 ‘명천리’라 부른다고 한다. 명천리는 『호구 총수(戶口總數)』에 무주군 일안면(一安面)의 방리로...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미천리에서 발원하여 소천리를 흘러 남대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미대천(美大川)’이라는 이름은 하천이 지나가는 두 법정리 지명 ‘미천리(美川里)’와 ‘대불리(大佛里)’에서 따온 것이다. 무주군 설천면 대불리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새로 만들어진 행정 지명이다. 따라서 ‘미대천’이라는 이름은 그 이후에 생긴 것으로 보인다. 그 이전의 명칭을...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삼유리에서 발원하여 무주읍 용포리로 흐르는 하천. ‘삼유천(三柳川)’이라는 이름은 법정리 명칭인 무주군 적상면 삼유리(三柳里)에서 비롯되었다. 삼유리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상유리(上柳里), 중유리(中柳里), 하유리(下柳里) 세 마을을 합쳐 만든 법정리의 명칭이다. 따라서 ‘삼유천’이라는 명칭은 최근에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삼류천이라고도...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서 발원하여 무주읍 당산리를 흘러 남대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무주군 적상면은 조선 시대 유가면(柳加面)과 상곡면(裳谷面)이 합친 것인데, 상곡천(裳谷川)은 옛 상곡면 지역을 따라 흐르는 하천이다. 그러므로 ‘상곡천’ 이름도 옛 면 이름에서 유래된 것인데 상당히 오래전부터 불렀던 것으로 짐작된다.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남...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에서 발원하여 고창리와 대소리를 흐르는 하천. 안창천(安昌川)이라는 이름은 하천이 흐르는 법정리인 장안리(長安里)와 고창리(高昌里)에서 각각 한 글자씩 따와 붙인 것으로 여겨진다. 장안리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생긴 지명이므로 ‘안창천’이라는 이름도 그 이후에 붙여진 것으로 짐작된다.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 국사봉...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삼거리에서 발원하여 설천면 소천리를 흘러 남대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고지도에는 원당천(元塘川)이 분명하게 표현되어 있지 않으며, ‘원당천’이란 이름의 기원도 문헌에서 확인할 수 없다. 『조선 지형도(朝鮮地形圖)』에 ‘원당천’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로 보아 적어도 구한말부터 지금의 명칭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설천, 소천이라고도 부른다....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삼가리에서 발원하여 무주읍 대차리를 흘러 남대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적상천(赤裳川)’이라는 명칭은 적상산이 아니라 무주군 적상면에서 비롯하였다. 비록 적상면은 적상산에서 따온 것이지만, 물줄기 측면에서 보면 적상산과 적상천은 관련성이 적기 때문이다. 무주군 적상면은 조선 시대 때 유가면(柳加面)과 상곡면(裳谷面)이 합쳐진 것인데, 1914년 행정...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에서 발원하여 구량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통안천(通安川)’이라는 이름은 상류 유역에 있는 마을 명칭 통안리(通安里)에서 비롯되었다. 통안 마을은 250여 년 전에 시작되었다고 한다.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이곳을 '삼재불입지지(三災不入之地)'라 하여 모든 재앙이 들어올 수 없는 곳으로 만사가 평안하고 형통하다는 뜻으로 통안이라 했다고 한다....
-
전라북도 무주군 내에서 일정한 유로를 가지고 지표를 흐르는 물줄기. 무주 지역의 하천은 모두 금강(錦江) 수계에 속한다. 금강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의 신무산(神舞山)에서 발원하여 전라북도,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를 관류하고 군산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강이다. 무주군 내 하천은 대부분 북쪽~북서쪽 방향의 지질 구조선을 따라 흐르는 경향을 보이며 남대천(南大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