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대 무주에서 활동한 학자 이용우의 시문집. 이용우(李用雨)[1875~1963]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몽필(夢弼), 호는 경산(耕山)이다. 활계(活溪) 이대유(李大㽕)의 후손이다.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간재(良齋) 전우(田愚)와 담재(澹齋) 김진명(金振明) 등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평소 글 읽기를 무척 좋아했으며, 만사(晩沙)...
-
근대 무주에서 활동한 이현교, 이근교 형제를 기념하기 위하여 쓴 시를 모은 시문집. 석포(石圃) 이현교(李賢敎)와 석정(石汀) 이근교(李根敎) 형제 외 다수가 저술하였다. 『관수대시고(觀水臺詩稿)』에 등장하는 관수대(觀水臺)는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 금척 마을에 있는 명소(名所)로, 참봉(參奉) 이현교와 동몽교관(童蒙敎官) 이근교 형제가 소요(逍遙)하던 곳으로,...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금평리에 거주하는 박재우가 일제 강점기 학자 강효석의 『대동 기문』을 번역한 책. 강효석(姜斅錫)의 본관은 진주이며, 호는 치당(痴堂)이다. 1920년대 한양 서원(漢陽書院)을 직접 경영하면서 여러 저서를 펴냈는데,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 역사와 인물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전하는 일에 일생을 바쳤다. 『대동 기문(大東奇聞)』은...
-
조선 전기 무주에 거주한 무신 장필무의 사적을 기록한 문집. 장필무(張弼武)[1510~1574]의 본관은 구례(求禮)이며, 자는 무부(武夫), 호는 백야(栢冶)이다. 할아버지는 군수 장사종(張嗣宗)이고 아버지는 충순위(忠順衛) 장근(張謹)이다. 1543년(중종 38) 무과에 급제하고, 종사관으로 연경(燕京)에 다녀왔으며, 온성 판관(穩城判官)을 지내면서 변방을 지켰다....
-
조선 후기 무주에 거주한 이유태가 사서에 관한 문답을 적은 책. 이유태(李惟泰)[1607~1684]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태지(泰之), 호는 초려(草廬)이다. 할아버지는 선공감 봉사(繕工監奉事) 이대방(李大邦)이고, 아버지는 증참판(贈參判) 이서(李曙)이다.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에게 나아가 학문을 닦았으며,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을 따라 『상례비요...
-
조선 중기 무주에서 활동했던 유학자 박이겸의 일제 강점기 시문집. 박이겸(朴以謙)[1553~1613]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자(字)는 덕후(德厚), 호(號)는 각재(殼齋)·삼암(三巖)이다. 주부(主簿) 도원(桃源) 박인정(朴仁挺)의 후손으로 옥천(沃川)에서 태어나 무주에서 살았다. 타고난 성품이 순수하고 비범하였으며, 위기지학(爲己之學)에 매진하였다. 조식(曺植)에...
-
조선 후기 무주에서 활동한 문신 박치화의 시문집. 박치화(朴致和)[1732~1783]의 자는 근보(近甫), 호는 설천(雪川)·설계(雪溪)이다. 초년에는 송명흠(宋明欽)과 송능상(宋能相)에게 수학하였고, 장성해서는 신돈항(愼敦恒)과 함께 『기헌 유고(寄軒遺稿)』의 저자인 김기(金琦)[1722~1794]를 스승으로 모셨다. 『설계수록(雪溪隨錄)』은 박치화가 세상을...
-
근대 무주에서 활동한 학자 강지형의 시문집. 강지형(姜芝馨)[1844~1909]의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자는 덕찬(德燦), 호는 우당(愚堂)이다. 통계(通溪) 강회중(姜准仲)의 후손이다. 단성(丹城)에서 출생하였으나 무주군 안성면에서 살았다.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학행(學行)이 높았고, 관선계(觀善契)를 조직하여 매년 봄과 가을에 많은 유생...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금평리에 설립한 육영재의 운영에 관한 기록. 『육영재실기(育英齋實記)』는 무주군 안성면 금평리에 설립한 육영재(育英齋)와 이를 운영하기 위해 조직한 영창계(永昌契)에 관한 기록으로, 1983년 신기훈(申基勳)의 서(序)와 신화진(申華鎭)의 발(跋)을 붙여 발간하였다. 1책의 필사본이다. 『육영재실기』의 내용은 건축 사적(建築...
-
조선 후기 무주에서 활동한 학자 박문건의 시문집. 박문건(朴文健)[1770~1809]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자는 이환(而煥), 호는 관일당(貫一堂)·정관재(靜觀齋)이다. 기우재(寄寓齋) 박세항(朴世項)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박중엽(朴重燁)이다. 진주에서 출생하여 말년에 무주로 이거하였고, 학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지극한 효성으로 어버이를 섬겼으며 죽을 때까지 영모(...
-
조선 후기 무주로 이거한 문신 이유태의 시문집. 이유태(李惟泰)[1607~1684]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태지(泰之), 호는 초려(草廬)이다. 할아버지는 선공감 봉사(繕工監奉事) 이대방(李大邦)이고, 아버지는 증참판(贈參判) 이서(李曙)이다.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에게 나아가 학문을 닦았으며,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을 따라 『상례 비요(喪禮備要)』를...
-
근대 무주 출신 유학자 유인성의 시문집. 유인성(柳寅誠)[1867~1938]의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호는 화은(華隱), 자는 길중(吉中)이다. 충경공(忠景公) 유양(柳亮)의 후손이다. 어렸을 때부터 책 읽기를 좋아하여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으며, 학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산골에 은거하며 후진들을 가르치면서 어버이에게 효도하며 일생을 보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