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무주군 지역의 공공건축 및 건축물. 공공건축은 사전적 의미로 공공성과 공용성을 갖는 건축물을 뜻한다. 대체로 관공서나 공공 단체가 운영하지만 민간에서 운영하는 것도 있다. 전라북도 무주의 공공건축은 이전에도 지속되어 왔지만 뚜렷한 특징을 보이지 못했었다. 그러다가 1996년 건축가 정기용(鄭寄鎔)이 무주 여행을 인연으로 ‘무주 공공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공공건...
전라북도 무주군 지역에 있는 누정. 누정(樓亭)은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를 함께 일컫는 말로 정루(亭樓)라고도 한다. 누정은 살림집과 달리,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건립한 것이 특색이다. 그래서 누정 건축은 사방이 탁 트인 구조로 되어 있거나 아니면 중앙이나 한쪽에 방이 위치하지만 주로 대청마루로 되어 있다. 누정은 궁실을 위한 원림(園林)의...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남대천에 설치하는 다리. 섶다리는 ‘섶나무[잎나무, 풋아무, 소나무 등]를 엮어서 만든 다리’로 정의하고 있다. 섶다리는 외나무다리, 징검다리와 함께 오랜 세월 동안 우리 조상들의 생활과 애환이 담겨 있는 토목 구조물이다. 무주 섶다리는 총 길이 80m, 폭 1.2m이다. 일반적으로 매년 겨울 초에 주민들의 왕래를 위하여 마을 주민들이...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무주 공공 프로젝트를 통하여 공공 건축을 설계한 건축가. 정기용(鄭寄鎔)[1945~2011]은 인위적인 건축을 배제하고, 자연이나 주어진 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건축가이다. 그래서 '흙 건축의 대가', '생태 건축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기용은 건축 작품을 통하여 '사람과의 소통'을 중시하고,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건축가 정기용의 정신과 무주 공공 프로젝트가 만나 이룬 결실. 건축가 정기용(鄭寄鎔)[1945~2011]은 인위적 건축을 배제하고 자연이나 주어진 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건축가이다. 그래서 그를 '흙 건축의 대가', '생태 건축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는 건축 작품을 하면서 '사람과의 소통'을 중시하고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공공 건축'을 추구하는 것으로...
전라북도 무주 지역의 주택과 주거지에서의 삶. 건축은 시대와 지역의 문화를 담고 있는 총체적인 문화적 산물이다. 무주의 주생활은 무주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면서부터 시작되어 현대까지 이르고 있는 주거 문화의 총 본산이다. 무주에는 한반도에서 인류가 살기 시작한 직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다고 전해진다. 2003년 전북 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한 「무주 남대천 2공구 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