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468
한자 古墳
영어공식명칭 Tumulu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전상학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원삼국 시대~삼국 시대의 고대 무덤.

[개설]

고분(古墳)은 지하 또는 지상에 매장 시설을 만들어 시신을 안치하고 그 위에 흙을 높이 쌓아 올려 만든 무덤을 통칭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고분이란 과거 사회에서 매장 의례 행위가 물질적인 증거로 남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의 개념은 과거의 모든 무덤들을 총칭하는 의미인 분묘(墳墓)와의 구분이 모호하여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고분은 국가가 형성되는 시기에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시신을 묻는 단순한 무덤의 기능 이외에 거기에 묻힌 사람의 지위와 권위를 상징하는 거대한 기념물로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고분은 원삼국 시대[삼한 시대]에 이어서 고구려·백제·신라·가야 등이 병립하고 있던 삼국 시대에 만들어진 거대한 무덤들을 지칭하고 있다. 고분은 외형별, 지역별 특징에 따라 봉토분(封土墳)과 분구묘(墳丘墓)로 구분할 수 있다. 봉토분은 지하나 지상에 매장 시설을 먼저 만들고 그 위에 흙을 올린 것으로 백제와 신라, 가야 고분에서 많이 나타나며, 대개 고분의 출현 시기인 3세기~4세기에 낮은 봉토분이 축조되다가 5세기~6세기에 거대한 봉토를 가진 고총(古塚)으로 발전한다. 분구묘는 봉분이 장방형 또는 방형이며, 분구를 먼저 쌓아 올린 다음 분구 안에 시신을 매장하는 방법으로 마한(馬韓) 고분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고분의 구조[매장 시설]는 주로 매장 방법과 매장 시설의 축조 재료와 형태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목관을 내려서 안치한 후 뚜껑을 덮어 매장하는 수혈식(竪穴式)과 한쪽 단벽에 개구부를 마련하고 이를 통하여 시신을 매장하는 횡구식(橫口式), 한쪽 단벽에 묘도와 연도를 만들어 목관을 매장하는 횡혈식(橫穴式) 등이 있다. 삼국 시대의 고분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지만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중심 고분군과 주변 고분군의 위계 관계가 성립되기도 한다.

[무주군의 고분 현황]

무주 지역은 일찍부터 교통의 요충지를 이루었다. 백두 대간을 넘는 고개와 금강을 건너는 나루를 중심으로 교통로가 그물망처럼 잘 구비되어 있다. 고개는 금강과 황강 수계권을 연결해 주는 고재와 동엽령(冬葉嶺)[동업이재], 무주 지역과 장수 지역을 이어 주는 오두치(烏頭峙)·도치(道峙)·노루 고개[獐項峙]·마분치(馬噴峙),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무주 지역으로 넘어오는 관문인 지삼치(芝三峙)와 목사리치(木士里峙)가 대표적이다. 나루는 무주읍무풍면, 설천면 방면 사람들이 주로 이용한 무주읍 용포리 노루 고개와 목사리치를 직접 연결해 주었던 부남면 대소리가 대표적이다. 이들 고개와 나루는 일찍부터 무주에 지역적인 기반을 둔 토착 세력 집단이 발전하는 데 큰 원동력을 제공해 준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지정학적인 이점과 잘 정비된 교통로는 일찍부터 사람들이 무주 지역에 터전을 잡고 살아가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동안의 지표 조사를 통해 가능성을 입증해 주는 다양한 문화 유적이 무주군 전역에 골고루 분포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하천을 따라 교통로가 통과하는 지역에 밀집 분포된 것으로 드러났다. 역사 시대에 무주 지역은 백제와 신라, 가야의 문화 유적이 혼재되어 문화상으로는 완충권을 이루었다. 아직까지 무주군 일원에서 발굴 조사된 고분은 없으며, 지표 조사를 통해 밝혀진 고고학적인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밖에 없다. 현재 보고된 고분군은 20여 개소로 지표 조사 시 확인된 고분의 구조는 돌덧널무덤[석곽묘]과 돌방무덤[석실묘]이 있으며, 수습되거나 신고된 유물의 양상은 백제와 신라, 가야계가 혼재된 양상이 나타난다.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에서는 백제 토기와 신라 토기가 동일 고분에서 함께 수습되었다. 무주군에서도 전형적인 산악 지대인 무풍면 현내리는 고재와 주치(走峙)로 연결되는 교통로가 나뉘는 분기점으로 교통상 요충지를 이룬다.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북리 마을 북쪽에 유적이 있으며, 이곳은 백두 대간의 준령에 위치한 민주지산(岷周之山)에서 남쪽으로 길게 뻗어 내린 경사면의 말단부에 해당된다. 북리 마을 주민들의 증언에 의하면 "이곳에서는 1970년대 초에 밭을 개간하다가 우연히 몇 기의 고분이 발견되었는데, 이들 고분은 돌로 쌓은 방과 방으로 들어가는 통로가 달린 것과 통로가 없는 것 등 두 가지의 구조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당시 이곳에서 12점의 토기류가 수습되었는데 유물은 무풍 초등학교에 소장되어 있다. 이 유물은 신라의 굽다리 접시[고배(高杯)]와 굽다리 목 긴 항아리[대부 장경호(臺附長頸壺)]로 보고되었다. 이 밖에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이남(伊南) 마을안성면 공진리 주고리 마을 등지에 고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 통일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대차리 고분군(大車里古墳群)이 있다. 대차리 고분군에서는 굽다리 목 긴 항아리와 굽구멍 굽다리 접시[투창 고배(透窓高杯)], 뚜껑 접시[개배(蓋杯)] 등의 고분 유물들이 수습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