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386
한자 茂朱鄕校大成殿
영어공식명칭 Daeseongjeon Hall of Mujuhyanggyo Confucian School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단천로 135[읍내리 264-6]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유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398년 - 무주향교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876년 - 무주향교대성전 중수[1876]
개축|증축 시기/일시 1886년 - 무주향교대성전 중수[1886]
개축|증축 시기/일시 1897년 - 무주향교대성전 중수[1897]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4월 1일연표보기 - 무주향교대성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03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무주향교대성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현 소재지 무주향교대성전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단천로 135[읍내리 264-6]지도보기
원소재지 무주향교대성전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성격 전각
양식 목조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무주향교
관리자 무주향교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무주향교의 대성전.

[위치]

무주향교대성전(茂朱鄕校大成殿)무주군 무주읍을 동서로 가로지는 남대천(南大川)의 다리 중에 무주 대교를 건너 북쪽으로 가서 향교 삼거리에 이르러 군청 방향으로 60여m 가면 오른쪽에 나오는 무주향교 내에 있다.

[변천]

무주향교(茂朱鄕校)는 1398년(태조 7) 현사(縣舍)의 북쪽에 창건되었다고 전해 오고 있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처음 건립된 무주향교에 호랑이가 나타나 해를 입히게 되자 1692년(숙종 18)에 당시 무주 부사이던 김몽신이 향로산 서쪽으로 이전하였다. 1830년(순조 30)에 부임한 이헌승(李憲承) 부사는 무주향교의 건물이 너무 낡아 곧 허물어질 위기에 있음을 보고 동쪽에 길지(吉地)를 정하고 이건 공사를 시작하였다. 4년 후인 1834년(순조 34)에 당시 부사 이광승에 의해 4년여 만에 완공함에 따라 현 위치에 무주향교가 건립되었다. 무주향교 이건이 마무리된 후에도 여러 차례의 중수가 이루어졌다. 1876년(고종 13) 이응우(李膺愚) 부사가 대성전을 비롯한 양무(兩廡)와 양재(兩齋)를 전면 중수하였다. 1884년(고종 21) 조준호(趙駿鎬) 부사가 명륜당과 홍문을, 1886년(고종 23)과 1897년(고종 34)에 대성전을 중수하였다. 또한 1928년에 배석린(裵錫麟) 군수가 중수하였다. 1957년에 명륜당과 양사재, 담장과 벽 등이 보수되었다.

[형태]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현황]

무주향교대성전에 현유(賢儒)의 위패(位牌)를 봉안하고 있다. 공자(孔子)를 중심으로 안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孟子) 등 중국의 사성(四聖), 송대 주희(朱熹)·정명도·정이천·소강절·장횡거·주자 등 육현, 민손·염경·염웅·재여·단목사·염구(冉求)·중유·언언·복상·전손사 등 공문십철(孔門十哲)을 배향(配享)하고 있다. 무주향교대성전은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0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무주군에 현존하는 중국 사성, 육현, 십철 및 우리나라 18현을 배향하는 중설위의 향교로서 지방 교육의 중심적인 공간으로 여러 유생들을 끊임없이 배출하였다. 아울러 학문을 강학하고 선유를 배향하는 공간으로 유교 사회 교육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동시에 무주 지역민들이 무주향교를 계속 중수하려고 노력한 것에서 무주인들이 지방 교육의 장으로서 향교에 대한 인식과 유학의 사회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잘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셸* 잘 읽었습니다. 이런 자료 만들어서 고맙습니다.
  • 답변
  • 디지털무주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0.05.06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