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663
한자 河亨道
영어공식명칭 Ha Hyeongdo
이칭/별칭 명서(明瑞),취은(醉隱)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동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06년연표보기 - 하형도 출생
몰년 시기/일시 1678년연표보기 - 하형도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14년 - 하형도 대덕사 배향
추모 시기/일시 1917년 - 하형도 백산사 배향
출생지 무주현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무주현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묘소|단소 하형도 묘소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사당|배향지 대덕사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사당|배향지 죽계 서원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평장길 79[죽천리 1716-3]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백산사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북리길 40[현내리 167]지도보기
성격 처사
성별
본관 진주

[정의]

조선 후기 무주 출신의 처사.

[가계]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명서(明瑞), 호는 취은(醉隱). 조선 전기 영의정을 지낸 문효공(文孝公) 하연(河演)의 10세손이다. 아버지 사양재(四養齋) 하위국(河衛國)이 임진왜란 때 무주 백운산(白雲山)으로 들어와 난을 피한 후 무풍면 현내리에 정착하였다.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金氏) 김일(金鎰)의 딸이다. 형제로 하징도(河徵道), 하정도(河呈道), 하현도(河顯道)가 있으며 하형도(河亨道)[1606~1678]가 셋째 아들이다. 형제 네 명이 모두 학문에 출중했다고 전하는데, 특히 하형도는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부인은 연일 정씨(延日鄭氏) 정강(鄭綱)의 딸이다. 아들은 하필영(河必永)과 하필해(河必海)이다.

[활동 사항]

하형도는 지극한 효성으로 부모를 공양하였다. 상을 당하자 3년 동안 여묘를 살았는데, 효성에 감동한 호랑이가 밤중에 그를 지켜 주었다는 이야기가 『무주부 읍지(茂朱府邑誌)』에 전한다. 오봉(五峰) 이호민(李好閔)에게 학문을 익혔고, 유성룡(柳成龍)에게도 묻고 배웠다. 하형도 4형제는 함께 향리에서 후학을 양성하였다. 미촌(美村) 윤선거(尹宣擧), 회곡(晦谷) 조한영(曺漢英), 구당(久堂) 박장원(朴長遠),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 명재(明齋) 윤증(尹拯) 등과 교유하였으며 때로 무풍 대덕산에 같이 올라 소요하였다고 한다. 73세 되던 1678년(숙종 4) 사망하였다.

[묘소]

묘는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마전치(馬轉峙) 간좌(良坐)의 언덕에 위치하였다. 1805년(순조 5) 이조 참의 파평(坡平) 윤광안(尹光顔)이 찬한 묘비명이 전한다.

[상훈과 추모]

1814년(순조 14) 후학들이 하형도 4형제와 윤선거 등 함께 활동했던 구현(九賢)의 모임을 기려 대덕산 아래에 대덕사(大德祠)를 세우고 배향하였다. 이후 대덕사가 철거되자 죽계 서원(竹溪書院)에 배향하였으나 죽계 서원 역시 고종(高宗) 때 철거된 후 1917년 백산사(栢山祠)에 배향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