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454
한자 北固寺三層石塔
영어공식명칭 Three-story Stone Pagoda at Bukgo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북고사길 67[읍내리 520]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진정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북고사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북고사길 67[읍내리 520]지도보기
성격 석탑
양식 일반형 석탑
재질 화강암
크기(높이) 220㎝
소유자 북고사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 북고사에 있는 고려 후기 석탑 부재.

[건립 경위]

북고사 삼층석탑(北固寺三層石塔)은 건립 당시 기록해 넣었을 복장물(服藏物)이나 명문(銘文)을 찾을 수 없어서 언제, 무엇을 봉안하던 탑이었는지 알 수 없다.

[위치]

무주군 무주읍 수리재 터널을 지나 북고사(北固寺) 방면으로 우회전하여 150m 이동하다가 좌회전하여 북고사길을 따라 650m 정도 가면 북고사가 나온다. 북고사 삼층석탑북고사 사역(寺域) 서편 산왕당 앞에 위치한다.

[형태]

북고사 삼층석탑은 마모되어 원형을 잃은 상태로 본래 몇 층이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탑의 구조를 크게 기단부(基壇部)·탑신부(塔身部)·상륜부(相輪部)로 구분하는데, 북고사 삼층석탑은 시멘트로 보수된 두 단의 기단 위에 새로 만든 탑신(塔身)과 원래의 석탑 부재인 삼층의 옥개석(屋蓋石)을 올려놓았다. 옥개석 받침은 얇은 삼단이다. 현존 탑의 높이는 220㎝이다.

[현황]

북고사 삼층석탑은 오랜 세월 너무 마모되어 원형을 잃은 상태이기 때문에 본래의 모습을 살피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의의와 평가]

기단부가 시멘트로 보수되어 원형을 알 수 없고 탑신 역시 비교적 최근에 새로 만들었지만, 옥개석의 규모나 세부 형식을 살펴볼 때 고려 후기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김** 향로산 기슭에 자리한 북고사(北固寺)는 정확한 창건 연도와 설립자는 알 수 없으나, 고려 19대 명종 27년(1197년)~20대 신종 1년(1198년)경에 경월사(景月寺)로 창건되었음을 古書籍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2018.12.01
김** 경월사를 북고사로 개칭한 사유를 일화로 알지만 분명 경월사가 북고사로 개칭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조선 효종 때 목불 조성기에도 경월사로 표기가 됨: 경자의 한자 표기가 틀리나 오래된 글을 따르도록 하고 있음).
1898년 조병유가 간행한 적성지를 따르는 것으로서 현 북고사의 건립년도를 정정하여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2018.12.01
김** 1898년 조병유(趙秉瑜)가 간행한 『적성지(赤誠地)』 사찰조(寺刹條)에는 ‛북고사는 향로산에 있으며 무주부(茂朱府)로 부터 북쪽으로 5리 떨어진 곳에 있다. 옛 이름은 경월사(景月寺)로 약700년된 고찰이다‛라고 하여 고려 중기에 창건된 절임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2018.12.01
김** 그러나 ‛남쪽에는 적상산이 있어 튼튼하지만 북쪽의 향로산은 산세가 너무 허약하다‛고 하여, 고을 현감에게 절에다 탑을 세우고 북쪽을 튼튼히 한다는 의미에서 ‛北固‛로 절 이름을 바꾸게 하여 무주를 비보케 함으로써, 무주(茂朱)를 복되게 만들고 강역을 청정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하였다한다 2018.12.01
김** .조선 초기에 무학대사(無學大師)가 북고사(北固寺)로 개칭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1392년 이성계의 조선 개국을 위해 새 도읍지를 찿던 중 천혜의 절경 무주(茂朱)를 앞에 한 무학대사는 지세를 살핀 뒤 천하의 복지(福地)라고 감탄하였다.
  • 답변
  • 무주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전의 내용을 수정하는 것인 만큼 댓글만으로 내용을 수정하기 어렵습니다. 20101452@aks.ac.kr 로 수정해야 할 내용과 근거 자료를 함께 보내주시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수정 여부를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12.0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