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156
한자 交通
영어공식명칭 Transpor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문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2년 - 무주 공용 버스 정류장 준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0년 8월 22일 - 국도 제19호선 남원군 산동면~무주군 무주읍 구간 84.6km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1년 - 구천동 버스 터미널 준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3년~1986년 - 국도 제30호선 설천면~무풍면~김천시 대덕면 구간 개수 및 포장 공사 시작·완료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5년~1990년 - 국도 제37호선 금산 방면 무주읍 가옥리·용포리, 부남면 굴암리 일대 포장 공사 시작·완료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 안성 공용 버스 터미널 준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 설천 버스 터미널 준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1년~1994년 - 국도 제30호선 진안군 안천면 백화리~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구간 개수 및 포장 공사 시작·완료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1년~1998년 - 국가 지원 지방도 제49호선 설천면 심곡리~적상면 괴목리 구간 확장 및 포장 공사 시작·완료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4년 - 조금재 터널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국도 제37호선 설천면 심곡리 구천동 계곡~리조트 삼거리 구간 개수 공사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2월 - 치목 터널[하행]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2월 - 구천동 터널[하행]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6년~2003년 12월 - 국가 지원 지방도 제49호선 적상면 사산리~설천면 심곡리 구간 확장 및 포장 공사 시작·완료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7년 9월~1999년 12월 6일 - 지방도 제1089호선 무주~김천 간 접속 도로 공사 시작·완료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2월 6일 - 삼도봉 터널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0년 12월 22일 - 통영 대전 고속 도로 산내 분기점~무주 나들목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1년 11월 29일 - 통영 대전 고속 도로 무주 나들목~함양 분기점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2월 22일 - 치목 터널[상행]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2월 22일 - 구천동 터널[상행]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2010년 - 국도 제19호선 영동군 영동읍~무주군 무주읍~적상면~안성면 구간 순차적 확장 공사 시작·완료 및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2월 - 싸리재 터널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2월 - 압치 터널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2월 - 적상산 터널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4월~2016년 12월 9일 - 국도 제30호선 진안군 안천면~무주군 적상면 구간 선형 개량 및 4차로 확장 개통 공사 시작·완료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1월 12일 - 국도 제30호선 무풍 우회 도로[무풍면 현내리~지성리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10월 31일 - 국도 제37호선 거창군 고제면 개명리~무주군 무풍면 삼거리 구간 선형 개량 공사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12월 9일 - 고로치 터널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12월 9일 - 조금재 터널 이전 개통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운송 수단과 운송로.

[개설]

무주군은 전라북도의 북동부 산간 지방에 위치하여 교통로가 현대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발달하였다. 전라북도·충청남도·충청북도·경상북도의 경계에 위치한 중부 내륙 지역으로, 1970년대 이후 단계적으로 교통로가 확충되어 현재는 접근성이 양호하다. 산지가 많은 지형적 영향으로 교량과 터널이 도로 곳곳에 분포한다. 철도는 인근 충청북도 영동군의 영동역이나 대전광역시의 대전역을 거치는 경부선 철도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광복 이전의 도로]

고려 시대에는 초기부터 역(驛) 제도가 상당한 수준에서 운영되었다. 역로(驛路)는 조선 시대까지 이어져 중요 지점에는 30리[약 1만 1781m]마다 역을 설치하고 그 사이를 도로로 연결하였는데, 이때의 도로는 좁고 불규칙한 산로(山路)였다. 역로는 역의 위치나 대소, 중요도, 역과 역을 연결하는 도로망에 따라 대로(大老), 중로(中路), 소로(小路)의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충청도 일대에는 금산의 제원역을 중심으로 한 소로인 제원도가 있었는데, 무주 소천역·용담 달계역·진안 달령역·고산 옥포역 등이 속해 있었다. 금산~영동 방면과 금산~용담~진안 방면의 역로들로, 충청도·전라도·경상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역로들은 1884년 역원제 폐지로 없어졌다.

이후 조선 총독부가 1911년 4월에 도로 규칙을, 1912년 12월에 도로 유지 및 보수 규정을 공포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전국의 도로를 1등, 2등, 3등 및 등외 도로로 구분하여 관리하였다. 이에 따라 1916년 11월 24일에 무주~거창 간 도로가 충청북도 3등 도로에 속하게 되었다.

[도로 유형별 현황]

무주군을 통과하는 도로는 고속 도로 1개 노선[통영 대전 고속 도로], 국도 3개 노선[국도 제19호선·국도 제30호선·국도 제37호선], 지방도 5개 노선[국가 지원 지방도 제49호선·지방도 제581호선·지방도 제635호선·지방도 제727호선·지방도 제1089호선], 그리고 군도가 있다. 국도와 지방도 중 국도 제30호선만 동서 방향 노선이고, 나머지는 모두 남북 방향이다.

2016년 기준 무주군 내의 총 도로 연장은 35만 1165m로 전라북도 전체 도로 연장[8,268.114㎞]의 4.25%에 해당한다. 이 중 개통 구간은 30만 1985m[86%]이며, 미개통 구간은 4만 9180m[14%]이다. 개통 구간의 대부분인 28만 4685m[94.27%]가 포장도로이며, 1만 7300m[5.73%]만이 미포장도로이다. 도로 유형별 총 연장 및 무주군 내 총 도로 연장 대비 비중은 고속 도로 2만 8060m[7.9%], 일반 국도 10만 9267m[31.12%], 지방도 7만 7600m[22.10%], 군도 13만 6238m[38.80%]이다.

고속 도로는 4차선, 일반 국도는 2~4차선으로 전 구간이 개통된 포장도로이다. 지방 도로는 2~4차선으로, 개통 구간이 7만 1500m[군내 지방도 총 연장 대비 92.14%], 미개통 구간은 6,100m[군내 지방도 총 연장 대비 7.86%]이고, 개통 구간의 97%에 달하는 6만 9640m는 포장이 된 상태, 나머지 1,860m[3%]는 미포장 상태이다. 군도는 다른 도로 유형에 비해 개통 및 포장 비율이 낮은 편이다. 개통 구간은 9만 3158m[군도 총 연장 대비 68.38%], 미개통 구간은 4만 3080m[군도 총 연장 대비 31.62%]이다. 개통 구간 중 83.43%에 달하는 7만 7718m가 포장이 된 상태, 나머지 1만 5440m[16.57%]는 미포장 상태이다.

도로 개통 및 공사 과정을 살펴보면, 1980년 8월 22일 국도 제19호선 남원군 산동면~무주군 무주읍 구간 84.6km를 개통하였다. 1983년~1986년 국도 제30호선 설천면~무풍면~김천시 대덕면 구간 개수 및 포장 공사를 하였다. 1985년~1990년 국도 제37호선 금산 방면 무주읍 가옥리·용포리, 부남면 굴암리 일대 포장 공사를 하였다. 1991년~1994년 국도 제30호선 진안군 안천면 백화리~적상면 사천리 구간의 개수 및 포장 공사를 하였다. 1991년~1998년 국가 지원 지방도 제49호선 설천면 심곡리~적상면 괴목리 구간 확장 및 포장 공사를 하였다. 1995년 국도 제37호선 설천면 심곡리 구천동 계곡~리조트 삼거리 구간 개수 공사를 하였다. 1997년 9월~1999년 12월 6일 지방도 제1089호선 무주~김천 간 접속 도로 공사를 하였다.

2000년 12월 22일 통영 대전 고속 도로 산내 분기점~무주 나들목 구간을 개통하였고, 2001년 11월 29일 통영 대전 고속 도로 무주 나들목~함양 분기점 구간을 개통하였다. 1996년~2003년 12월 국가 지원 지방도 제49호선 적상면 사산리~설천면 심곡리 구간 확장 및 포장 공사를 하였다. 2005년~2010년 국도 제19호선 영동군 영동읍~무주군 무주읍~적상면~안성면 구간을 순차적으로 확장 및 개통하였다. 2012년 11월 12일 국도 제30호선 무풍 우회 도로[무풍면 현내리~지성리 구간] 3.94km를 개통하였다. 2013년 10월 31일 국도 제37호선 거창군 고제면 개명리~무주군 무풍면 삼거리 구간[5.4km] 선형 개량 공사를 하였다. 2008년 4월~2016년 12월 9일 국도 제30호선 진안군 안천면~무주군 적상면 구간 선형 개량 및 4차로 확장 개통을 하였다.

무주군은 소백산맥의 덕유산 국립 공원이 위치하며 금강 상류 지역으로, 산지와 소규모 하천을 가로지르는 교통로 개설 과정에서 교량과 터널을 가설하였다. 무주군의 교량은 무주군에서 관할하는 교량이 80개로서 군도에 29개, 도시 계획 도로에 4개, 농어촌 도로에 47개의 교량이 분포한다. 또 타 기관 관리 교량으로 117개의 교량이 분포하는데 고속 도로에 50개, 국도에 44개, 지방도에 23개의 교량이 설치되어 있다. 터널은 고속 도로에 6개, 국도에 17개, 지방도에 1개, 군도에 2개로 총 26개가 있다. 1994년 조금재 터널, 1996년 12월 치목 터널[하행]·구천동 터널[하행], 1999년 12월 6일 삼도봉 터널, 2003년 12월 22일 치목 터널[상행]·구천동 터널[상행], 2005년 12월 싸리재 터널·압치 터널, 2008년 12월 적상산 터널, 2016년 12월 9일 고로치 터널 등이 개통되었다. 조금재 터널은 2016년 12월 9일 이전 개통하였다.

[대중교통 현황]

무주군 내 공용 버스 정류장은 무주 공용 버스 터미널[무주읍], 안성 공용 버스 터미널[안성면], 구천동 버스 정류소[설천면], 설천 버스 정류소[설천면] 네 곳에 있다. 모든 군 내외 노선의 배차 간격이 불규칙하고, 지정 좌석제가 아니며, 온라인 예매가 불가능하다.

군내 농어촌 버스는 무주군·진안군·장수군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전체 노선이 무번호제로 운영된다. 기존에는 무주 지역 11㎞ 이내에서 기본요금 1,300원을 적용하고 1㎞를 초과할 때마다 116.14원씩 추가하는 구간 요금제를 적용하였다. 무주군과 버스 운행 업체가 2015년 2월에 버스 단일 요금제 시행과 관련한 업무 협약을 체결함에 따라, 2015년 3월부터 승객이 이용한 거리와 관계없이 일반 1,000원, 학생 500원의 기본요금을 지불하게 되었다.

모든 터미널의 시외 노선은 직행버스이며, 서울행은 금남 고속에서, 그 외는 전북 고속에서 운행한다. 군내 농어촌 버스는 무진장 여객에서 운행하는 완행버스로 무번호제이며, 버스 전면의 행선지를 참고해야 한다.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영동읍 방면은 영동군 시내버스 업체인 동일 버스가 운행한다. 군내에서 출발하는 시외 노선은 대전·전주·광주·서울·금산·영동 방면 노선이 있으며, 노선에 따라 진안군·장수군·남원시 등을 경유한다. 대전행이 가장 자주 운행된다.

무주 공용 버스 터미널안성 공용 버스 터미널은 각각 1972년, 1987년에 개인 사업자가 전라북도 버스 정류장 사업 면허를 취득해 운영해 오고 있다[최초 면허 취득 시기 기준]. 무주 공용 버스 터미널은 유인 매표소에서, 안성 공용 버스 터미널은 무인 발권기에서 매표하거나 버스 탑승 시 교통 카드로 결제가 가능하며, 대합실을 운영한다. 설천 버스 정류소구천동 버스 정류소는 사업성 악화로 개인 사업자가 폐업하자 2013년에 무주 군청에서 버스 정류소 면허를 취득하여 각각 직영[설천 버스 정류소], 위탁[구천동 버스 정류소] 운영하고 있다. 설천 버스 정류소는 매표소 없이 대합실만 운영하고, 구천동 버스 정류소는 매표소·대합실을 운영하지 않으므로, 버스 탑승 시 현금을 내거나 교통 카드로 결재해야 한다.

무주 공용 버스 터미널은 1972년에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 216번지 일대에 준공된 이후, 1993년에 신축·이전하여 현재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당산리 1229번지[한풍루로 351]에 위치한다. 일일 기준 이용객 수 1,500여 명, 운행 횟수 159회, 운행 노선 수 18개[시외 7개, 시내 11개] 이다. 주요 목적지별 직행버스의 일 운행 횟수는 대전 19회, 전주 14회, 구천동 11회, 광주 7회, 금산읍 6회, 서울 5회, 영동읍 2회이다. 소요 시간이 가장 짧은 노선은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을 경유하는 영동읍 방면으로 25분이 소요된다. 고속 도로를 이용하는 대전광역시 방면은 경유지 없이 소요 시간 50분, 전주시 방면은 안성·장계·진안 경유 시 2시간 10분, 안천·진안 경유 시 1시간 40분이 소요된다.

안성 공용 버스 터미널은 1987년에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장기리 1506-11번지[시장윗길 6-3]에 최초 준공된 후 30년 가까이 운영되다가, 2016년에 기존 부지에 현재의 건물을 신축하였다. 일일 이용객 수 250여 명, 일일 운행 횟수 94회, 운행 노선 수 12개[시외 4개, 시내 8개]이다. 시외 노선은 대전·전주·광주·서울 방면으로 일일 34회 운행한다. 주요 목적지별 직행버스의 일일 운행 횟수는 전주 8회, 대전 7회, 광주 7회, 무주읍 7회, 서울 4회, 구천동 1회이다. 서울·대전 방면은 무주읍을 경유하며, 전주·광주 방면은 장수군, 남원시 또는 진안군을 경유한다.

설천 버스 정류소는 1987년에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904-123번지[무설로 1571]에 최초 준공된 후, 2013년에 기존 건물 옆인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904-216번지[무설로 1573]에 현재의 정류소를 신축하였다. 일일 이용객 수 250여 명, 일일 운행 횟수 94회, 운행 노선 수 12개[시외 4개, 시내 8개]이다. 모든 시외 노선은 무주읍을 경유하는 직행버스이며, 서울·전주·대전·영동 방면으로 일일 12회 운행한다. 주요 목적지별 직행버스의 일일 운행 횟수는 구천동 12회, 대전 5회, 전주 4회, 영동 2회, 서울 1회이다.

구천동 버스 정류소는 1981년에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416-1번지[구천동1로 77]에 최초 준공된 후, 2010년에 덕유산 국립 공원 관리 사무소 부근의 현 위치인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411-10번지[구천동1로 166]에 신축하였다. 기존 건물은 계곡 건너편에 남아 있다. 전주행 노선은 장계·안천·진안의 시외버스 터미널을 추가로 경유하며, 일일 4회 운행한다. 대전 복합 터미널행은 일일 5회 운영하여 노선 중 운행 횟수가 가장 많고, 통영 대전 고속 도로를 이용한다. 서울 남부 터미널행은 오후 1시 50분에 1회 운행한다. 영동 방면은 영동군 학산면을 추가로 경유해 영동읍을 향하며, 일일 2회 운행한다.

[주요 도시와의 거리 및 소요 시간]

전국 주요 도시에서 자가용으로 무주에 올 때는 중부 고속 도로 통영 대전선을 이용해 무주 나들목, 덕유산 나들목으로 진입하는 것이 편리하다. 대전~무주 간의 거리는 53㎞이고 약 1시간이 소요된다. 서울에서는 대전을 지나는 중부 고속 도로를 이용하면, 거리는 약 219㎞이고 3시간 정도 소요된다. 대구에서는 경부 고속 도로 황간 나들목, 영동 나들목을 이용하면, 거리는 약 160㎞이고 2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부산에서는 경부 고속 도로 황간 나들목, 영동 나들목을 이용하면, 거리는 약 265㎞이고 3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자동차 등록 현황]

무주군 내 자동차 등록 현황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1980년의 총 차량 등록 수는 284대였으며 이중 관용 45대, 자가용 87대, 영업용 152대였다. 2001년 총 차량 등록 수는 6,534대로 관용 99대, 자가용 6,128대, 영업용 307대였다. 2016년 9월 현재 관용 156대, 자가용 1만 1606대, 영업용 369대 등 총 차량 등록 수 1만 2131대로 보유 대수가 크게 늘어났으며 특히 자가용 차량의 증가세가 뚜렷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